고속도로 주행은 빠른 속도로 인해 긴장된 운행을 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선차로에서 진출로로 빠져나올 때뒤따르는 차가 있으므로 급히 감속하게 되면 뒤차와의 추돌이 우려도 있어 주의하여야 한다. 본선차로에서 나와감속차로에 들어가면 감각에 의존하지 말고 속도계를 보면서 속도를 확실히 줄여야 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고속도로에서 안전하게 진출하려면, 본선에서는 주행 속도를 유지하며 감속차로로 진입한 뒤 속도계를 보면서 충분히 감속해야 합니다. 본선에서의 급감속으로 인한 추돌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핵심이며, 속도 감각이 둔해지는 것에 대비해 반드시 속도계로 현재 속도를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설명 |
|---|
1. 신속한 진출을 위해서 지체없이 연속으로 차로를 횡단한다. 연속 차로 변경은 '끼어들기'와 같이 주변 차량의 흐름을 파악하기 어렵게 만들어 사고 위험을 높이는 매우 위험한 운전 습관입니다. 도로교통법 제19조 제3항(진로변경 방법)에 따라, 모든 차의 운전자는 진로를 변경할 때 다른 차의 정상적인 통행에 장애를 줄 우려가 있다면 진로를 변경해서는 안 됩니다. |
2. 급감속으로 신속히 차로를 변경한다. 고속으로 주행하는 본선 차로에서의 급감속은 뒤따르는 차량과의 연쇄 추돌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가장 위험한 행동 중 하나입니다. 도로교통법 제19조 제4항은 위험 방지를 위한 경우 외에는 급제동을 금지하고 있으며, 감속은 반드시 감속차로에 진입한 후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
3. 감속차로에서부터 속도계를 보면서 속도를 줄인다. 정답입니다. 고속도로 진출 시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고속 주행 중에는 실제 속도보다 느리게 느끼는 '속도 감각 둔화 현상'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감각에 의존하지 않고, 감속차로에 완전히 진입한 후 속도계를 보며 출구 도로의 제한속도에 맞춰 충분히 속도를 줄여야 안전하게 진출할 수 있습니다. |
4. 감속차로 전방에 차가 없으면 속도를 높여 신속히 진출로를 통과한다. 감속차로는 이름 그대로 속도를 '줄이기 위해' 마련된 차로입니다. 진출로는 대부분 급한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어, 속도를 높이면 원심력에 의해 차선을 이탈하거나 전복될 위험이 매우 큽니다. 전방에 차가 없더라도 반드시 규정 속도 이하로 충분히 감속하여 안전하게 통과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