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상 보이지 않는 곳에 위험이 있을 것이라는 대비하는 운전자세가 필요하다. 단순히 위험의 실마리라는 생각이아니라 최악의 상황을 대비하는 자세이다. 운전자는 충분히 예측할 수 있는 위험이 나타났을 때에는 쉽게 대비할수 있으나 학습이나 경험하지 않은 위험에 대하여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주택지역 교통사고는 위험을 등한히 할 때 발생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골목길 운전 시에는 주정차된 차량, 이륜차 등 잠재적 위험 요소를 예측해야 합니다. 마주 오는 개인형 이동장치의 일시정지는 위험 상황이 아닌 안전 확보를 위한 행동이므로 발생 가능성이 가장 낮은 위험입니다. 보이지 않는 위험을 예측하는 방어운전 자세가 중요합니다.
설명 |
---|
1. 골목길 주정차 차량 사이에 어린이가 뛰어 나올 수 있다. 골목길 주정차 차량 사이는 시야 확보가 어려워 어린이가 갑자기 뛰어들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운전자는 이런 돌발 상황을 항상 예측하고 서행해야 합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27조(보행자의 보호)에서 규정한 운전자의 기본적인 의무와 연결됩니다. |
2. 파란색 승용차의 운전자가 차문을 열고 나올 수 있다. 주정차된 차량의 운전자나 동승자가 후방을 확인하지 않고 갑자기 문을 여는 '개문 사고'는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49조 제1항 제7호에 따라 금지된 행위로, 운전자는 이를 예측하고 차량과 거리를 두고 통과해야 합니다. |
3. 마주 오는 개인형 이동장치 운전자가 일시정지 할 수 있다. 마주 오는 개인형 이동장치 운전자가 일시정지하는 것은 위험을 유발하는 행동이 아니라, 오히려 좁은 길에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바람직한 운전 행위입니다. 따라서 예측되는 '위험한 상황'으로 보기 어려워 발생 가능성이 가장 낮습니다. |
4. 전방의 이륜차 운전자가 마주하는 승용차 운전자에게 양보하던 중에 넘어질 수 있다. 이륜차는 구조적으로 4륜차보다 불안정하여, 좁은 길에서 마주 오는 차를 피하려 급하게 멈추거나 방향을 바꾸다 균형을 잃고 넘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충분히 예측 가능한 위험 상황이므로 운전자는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