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에서 경찰차가 지그재그 형태로 차도를 운전하는 경우 가상의 정체를 유발하는 신호 및 지시를 하고 있다.이 기법은 트래픽 브레이크(traffic brake)라고 말하기도 한다. 이는 도로에 떨어진 낙하물, 교통사고 발생 후속조치그리고 그 밖의 위험상황 등이 있는 경우 2차 또는 3차로 연결될 교통사고예방에 관한 목적이 있다. 따라서, 다른자동차 운전자는 속도를 줄이고 서행하며, 경찰차 운전자의 행동을 위반행동으로 오인하지 않아야 하며, 신호와지시를 따라야 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영상 속 경찰차의 지그재그 운행은 전방 위험 상황을 알려 안전하게 감속을 유도하는 '트래픽 브레이크'입니다. 이는 경찰관의 신호 및 지시에 해당하므로, 추월하지 말고 경찰차 뒤에서 감속 서행하는 것이 올바른 행동입니다.
설명 |
---|
1. 경찰차 뒤에서 서행으로 통행한다. 정답입니다. 경찰차의 지그재그 운행은 전방 위험 상황에 대비해 후방 차량들의 감속을 유도하는 '트래픽 브레이크' 수신호입니다. 도로교통법 제5조(신호 또는 지시에 따를 의무)에 따라 운전자는 경찰공무원의 신호와 지시를 따라야 하므로, 감속하여 서행하는 것이 올바른 행동입니다. |
2. 경찰차 운전자의 위반행동을 즉시 신고한다. 오답입니다. 경찰차의 지그재그 운행은 교통법규 위반이 아닌, 도로교통법 제5조에 근거한 정당한 경찰 업무 수행입니다. 이를 위반행위로 오인하고 신고하는 것은 잘못된 판단이며, 운전자는 경찰의 지시에 따라야 합니다. |
3. 왼쪽 차로에 안전한 공간이 있는 경우 앞지르기 한다. 오답입니다. 경찰차가 감속을 지시하는 상황에서 앞지르기는 매우 위험하며 도로교통법 제5조(신호 또는 지시에 따를 의무)를 위반하는 행위입니다. 전방에 낙하물, 사고 등 예측 불가능한 위험이 있을 수 있으므로 절대 앞지르기해서는 안 됩니다. |
4. 오른쪽 차로에 안전한 공간이 있는 경우 앞지르기 한다. 오답입니다. 왼쪽 차로와 마찬가지로 오른쪽 차로를 이용한 앞지르기 역시 경찰관의 지시를 위반하는 위험한 행동입니다. 트래픽 브레이크는 모든 차로의 차량을 통제하는 신호이므로, 어느 방향으로든 앞지르기를 시도해서는 안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