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간판이나 표지판 뒤에 있는 보행자는 장애물에 의한 사각지대에 있으므로 운전자가 확인하기 어렵다. 이 때 보행자는 멀리에서 오는 자동차의 존재에 관심이 없거나 또는 그 자동차를 발견했을지라도 상당히 먼 거리이므로 횡단을 할 수 있다고 오판하여 무단횡단을 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횡단보도의 앞뒤에서 무단횡단이 많다는 점도 방어운전을 위해 기억해야 하겠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되지 않은 입간판 뒤에서 보행자가 갑자기 나타나는 상황은 예측과 대응이 거의 불가능해 가장 위험합니다. 주행 중에는 항상 주변 장애물로 인한 사각지대를 인지하고 보행자의 갑작스러운 출현에 대비해야 합니다.
설명 |
|---|
1. 교차로에 대기 중이던 1차로의 승용자동차가 좌회전하는 상황 교차로에서 좌회전을 대기 중인 승용차는 신호나 교통 흐름에 따라 움직일 것이므로 운전자가 충분히 예측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이는 일반적인 교통 상황으로, 갑작스러운 돌발 상황에 비해 위험도가 현저히 낮습니다. |
2. 2차로로 진로변경 하는 중 2차로로 주행하는 자동차와 부딪치게 될 상황 2차로로 주행하는 자동차는 운전자의 시야 내에 있으며, 운전자는 도로교통법 제19조(진로 양보의 의무)에 따라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진로를 변경할 의무가 있습니다. 이는 운전자의 주의로 충분히 예방 가능한 위험입니다. |
3. 입간판 뒤에서 보행자가 무단횡단하기 위해 갑자기 도로로 나오는 상황 정답입니다. 입간판 뒤는 운전자의 시야에서 벗어난 '사각지대'입니다. 이곳에서 보행자가 갑자기 나타나면 운전자가 이를 인지하고 반응할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중대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48조(안전운전 및 친환경 경제운전의 의무)에서 강조하는 예측 운전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
4. 횡단보도에 대기 중이던 보행자가 신호등 없는 횡단보도 진입하려는 상황 횡단보도에 대기 중인 보행자는 운전자가 미리 발견할 수 있는 대상입니다. 도로교통법 제27조(보행자의 보호)에 따라 운전자는 횡단보도 앞에서 보행자 보호 의무가 있으므로, 법규를 준수하면 충분히 예방 가능한 상황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