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의 공회전은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안전운전을 위해 불필요한 공회전은 피해야 합니다. 과도한 엔진 예열은 연료 낭비와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므로, 최근 차량은 긴 예열 없이 바로 출발하는 것이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운전 습관입니다.
설명 |
---|
1. 주의력이 산만해지지 않도록 몸상태를 조절한다. 안전운전의 가장 기본은 운전자 자신의 몸상태를 최상으로 유지하는 것입니다. 피로나 질병 등 주의력이 저하된 상태에서의 운전은 도로교통법 제48조(안전운전 및 친환경 경제운전의 의무) 위반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한 행위이므로, 바람직한 준비사항입니다. |
2. 운전기기 조작에 편안하고 운전에 적합한 복장을 착용한다. 안전한 운전을 위해서는 페달 조작이나 비상시 빠른 대처가 가능한 복장과 신발 착용이 중요합니다. 슬리퍼나 하이힐 등 운전에 방해가 될 수 있는 복장은 도로교통법 제48조(안전운전 의무)에 저촉될 수 있으므로, 운전에 적합한 복장을 착용하는 것은 바람직합니다. |
3. 적색 손전등 등 비상 신호도구를 준비한다. 고장이나 사고 등 비상 상황 발생 시 2차 사고 예방을 위해 비상 신호도구를 준비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합니다. 특히 야간에는 도로교통법 제66조(고장 등의 조치)에 따른 안전삼각대와 더불어 적색 섬광신호나 손전등이 자신의 위치를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4. 연료절약을 위해 출발 10분 전에 시동을 켜 엔진을 예열한다. 과거 차량과 달리 최근 차량은 기술의 발달로 1분 이내의 짧은 예열로 충분합니다. 10분간의 공회전은 연료를 낭비하고, 대기오염을 유발하며, 일부 지자체에서는 조례로 공회전을 제한하기도 하므로 가장 바람직하지 않은 준비사항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