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 6.116.
오르막경사표지 오르막경사가 있음을 알리는 것.
운전선생 자체해설
이 안전표지는 오르막 경사를 알리는 주의표지입니다. 오르막길, 특히 눈길에서는 중간에 멈추면 미끄러지며 재출발이 어려우므로, 가급적 정지하지 않고 관성을 이용해 통과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운전 방법입니다.
설명 |
---|
1. 눈길인 경우 고단 변속기를 사용한다. 잘못된 방법입니다. 눈길이나 가파른 오르막길에서는 더 큰 구동력이 필요하므로 고단 기어가 아닌 저단 기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저단 기어는 차량의 힘을 높여 미끄러운 노면에서도 안정적으로 오를 수 있도록 돕습니다. |
2. 눈길인 경우 가급적 중간에 정지하지 않는다. 올바른 운전 방법입니다. 눈이 쌓인 오르막길에서 정지하면 타이어의 마찰력이 크게 줄어들어 다시 출발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바퀴가 헛돌거나 차량이 뒤로 미끄러질 위험이 크므로,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며 멈추지 않고 통과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3. 평지에서 보다 고단 변속기를 사용한다. 잘못된 방법입니다. 오르막길은 평지보다 더 큰 엔진의 힘을 요구합니다. 따라서 고단 기어 대신 저단 기어를 사용하여 충분한 힘을 확보해야 합니다. 고단 기어를 사용하면 출력이 부족하여 차가 뒤로 밀리거나 시동이 꺼질 수 있습니다. |
4. 짐이 많은 차를 가까이 따라간다. 매우 위험한 운전 습관입니다. 짐을 많이 실은 차는 오르막길에서 갑자기 속도가 줄거나 뒤로 밀릴 수 있습니다. 도로교통법 제19조(안전거리 확보 등)에 따라 앞차와의 충돌을 피할 수 있는 안전거리를 반드시 확보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