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 6. 116.오르막경사표지 오르막경사가 있음을 알리는 것
운전선생 자체해설
이 안전표지는 오르막 경사를 알립니다. 눈 덮인 오르막길에서는 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가급적 중간에 멈추지 않고 한 번에 올라가는 것이 안전합니다. 중간에 멈추면 재출발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설명 |
|---|
1. 눈길인 경우 고단 변속기를 사용한다. 오답입니다. 눈길 오르막에서는 더 큰 힘(토크)이 필요하므로 저단 기어(1단 또는 2단)를 사용해야 합니다. 고단 기어는 구동력이 약해 언덕을 오르기 어렵거나 시동이 꺼질 수 있어 위험합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48조(안전운전 의무)에 따른 기본 원칙입니다. |
2. 눈길인 경우 가급적 중간에 정지하지 않는다. 정답입니다. 눈이나 얼음으로 미끄러운 오르막길 중간에 멈추면 마찰력이 부족하여 다시 출발하기 매우 어렵습니다. 바퀴가 헛돌며 미끄러질 수 있으므로, 관성을 이용해 멈추지 않고 한 번에 통과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
3. 평지에서 보다 고단 변속기를 사용한다. 오답입니다. 오르막 경사에서는 평지보다 더 큰 엔진의 힘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고단 기어보다 힘이 좋은 저단 기어를 사용하여야 안정적으로 경사로를 오를 수 있습니다. 이는 안전운전의 기본 상식이며, 도로교통법 제48조(안전운전 의무)의 취지에도 부합합니다. |
4. 짐이 많은 차를 가까이 따라간다. 오답입니다. 짐이 많은 차는 오르막에서 속도가 느려지거나 뒤로 밀릴 수 있어 매우 위험합니다. 도로교통법 제19조(안전거리 확보)에 따라 앞차가 갑자기 정지하더라도 충돌을 피할 수 있는 충분한 거리를 유지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