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으로 할인 받고
운전학원 예약해보세요!
QR 코드 이미지
앱스토어 이미지플레이스토어 이미지
운전선생 로고지금 바로
예약 가능한 학원을 찾아보세요!
돈 이미지더이상 직접 가서 예약하지 마세요!
돈 이미지운전학원 최저가로 예약하세요!
고속도로 운전 중 교통사고 발생 현장에서의 운전자 대응방법으로 바르지 않는 것은?
도로교통공단 공식 해설

사고차량 뒤쪽은 2차 사고의 위험이 있으므로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고속도로 교통사고 발생 시, 운전자는 자신의 안전을 확보하고 2차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최우선입니다. 따라서 사고 현장에서 직접 교통정리를 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며 절대 해서는 안 될 행동입니다. 사고 발생 시에는 즉시 비상등을 켜고, 안전 삼각대를 설치한 후 2차 사고 예방을 위해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설명

1. 동승자의 부상정도에 따라 응급조치한다.

올바른 대응 방법입니다. 도로교통법 제54조(사고발생 시의 조치) 제1항에 따라 운전자는 사상자를 구호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동승자의 부상 정도를 신속히 파악하고 필요한 응급조치를 하는 것은 운전자의 중요한 의무 중 하나입니다.

2. 비상표시등을 켜는 등 후행 운전자에게 위험을 알린다.

올바른 대응 방법입니다. 사고 발생 시 비상표시등을 켜고, 차량 후방에 안전삼각대를 설치하여 후속 차량에게 위험 상황을 알리는 것은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필수 조치입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66조(고장 등의 조치)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40조(고장자동차의 표지)에 따른 의무 사항입니다.

3. 사고차량 후미에서 경찰공무원이 도착할 때까지 교통정리를 한다.

바르지 않은 대응 방법으로, 문제의 정답입니다.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이 많은 고속도로에서 일반 운전자가 교통정리를 시도하는 것은 2차 사고에 노출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행동입니다. 교통정리는 경찰공무원 등 권한이 있는 사람만이 할 수 있으며, 운전자는 안전 확보 후 신속히 대피해야 합니다.

4. 2차사고 예방을 위해 안전한 곳으로 이동한다.

올바른 대응 방법입니다. 고속도로 사고 현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2차 사고 예방입니다. 차량 내에 머무르거나 사고 현장 주변에 서 있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도로교통법 제54조(사고발생 시의 조치)에서 규정한 안전 확보 의무의 일환으로, 신속하게 가드레일 밖 등 안전한 곳으로 이동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