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으로 할인 받고
운전학원 예약해보세요!
QR 코드 이미지
앱스토어 이미지플레이스토어 이미지
운전선생 로고지금 바로
예약 가능한 학원을 찾아보세요!
돈 이미지더이상 직접 가서 예약하지 마세요!
돈 이미지운전학원 최저가로 예약하세요!
다음 상황에서 전동킥보드 운전자가 좌회전하려는 경우 안전한 방법2가지는?
다음 상황에서 전동킥보드 운전자가 좌회전하려는 경우 안전한
방법2가지는?

■ 동쪽에서 서쪽 신호등 : 직진 및 좌회전 신호 ■ 동쪽에서 서쪽 A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 녹색

도로교통공단 공식 해설

도로교통법 제25조 제3항. 자전거등의 운전자는 교차로에서 좌회전하려는 경우에는 미리 도로의 우측 가장자리로붙어 서행하면서 교차로의 가장자리 부분을 이용하여 좌회전하여야 한다.법제처 법령해석사례. 안건번호 17-0078.(아래의 자전거는 현재는 자전거등에 해당한다.)「도로교통법」 제25조제2항에서는 모든 차의 운전자는 교차로에서 좌회전을 하려는 경우에는 미리 도로의 중앙선을 따라 서행하면서 교차로의 중심 안쪽을 이용하여 좌회전하여야 한다. 다만, 시‧도 경찰청장이 교차로의 상황에따라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지정한 곳에서는 교차로의 중심 바깥쪽을 통과할 수 있다(단서)고 규정하고 있고,같은 조 제3항에서는 같은 조 제2항에도 불구하고 자전거의 운전자는 교차로에서 좌회전하려는 경우에는 미리 도로의 우측 가장자리로 붙어 서행하면서 교차로의 가장자리 부분을 이용하여 좌회전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자전거 운전자의 교차로 좌회전 방법을 규정한 「도로교통법」 제25조제3항이 자전거 운전자는 교차로에서 좌회전 신호에 따라 곧바로 좌회전할 수 없고, 진행방향의 직진 신호에 따라 도로 우측 가장자리에 붙어 “2단계로직진-직진”하는 방법으로 좌회전하여야 한다는 이른바 “훅턴(hook-turn)”을 의미하는 것인지, 아니면 자전거 운전자의 경우에도 교차로에서 좌회전 신호에 따라 곧바로 좌회전할 수 있되, 같은 방향으로 같은 조 제2항에 따라좌회전하는 자동차 등 운전자의 우측 도로 부분을 이용하여 좌회전하여야 한다는 의미인지?※ 질의배경경찰청은 자전거 운전자의 교차로 좌회전 방법에 관한 「도로교통법」 제25조제3항이 진행방향의 직진 신호에 따라“2단계로 직진-직진”하는 방법으로 좌회전하는 “훅턴”을 규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만약 자전거 운전자가자동차 운전자 등과 같이 녹색 좌회전 화살표 신호 시 등에 곧바로 좌회전하는 경우에는 해당 규정 위반이라고해석해 오고 있는데, 민원인은 경찰청의 위와 같은 해석에 이견이 있어 법제처에 법령해석을 요청함.2. 결론자전거등 운전자의 교차로 좌회전 방법을 규정한 「도로교통법」 제25조제3항은 자전거 운전자가 교차로에서 좌회전 신호에 따라 곧바로 좌회전할 수 없고, 진행방향의 직진 신호에 따라 도로 우측 가장자리에 붙어 “2단계로직진-직진”하는 방법으로 좌회전하여야 한다는 “훅턴”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개인형 이동장치 운전자는 교차로에서 좌회전 시 자동차처럼 돌지 않고, 도로 우측 가장자리로 직진 후 다시 직진하는 '훅턴(Hook-turn)'을 해야 합니다. 또는 전동킥보드를 끌고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보행자의 방법도 안전합니다.

설명

1. A횡단보도로 전동킥보드를 운전하여 진입한 후 B지점에서 D방 향의 녹색등화를 기다린다.

잘못된 방법입니다. 도로교통법 제15조의2 제3항에 따라 전동킥보드 운전자는 횡단보도를 이용하여 도로를 횡단할 때 내려서 끌고 가야 합니다. 횡단보도를 운전하여 진입하는 것은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한 행위입니다.

2. A횡단보도로 전동킥보드를 끌고 진입한 후 B지점에서 D방향의 녹색등화를 기다린다.

안전한 방법입니다.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제2조 제1항 제6호에 따라 전동킥보드에서 내려서 끌고 가는 사람은 보행자로 봅니다. 보행자 신호가 녹색일 때 A횡단보도를 이용해 B지점까지 이동한 후, D방향 신호를 기다리는 것은 안전하고 올바른 방법입니다.

3. 전동킥보드를 운전하여 E방향으로 주행하기 위해 교차로 중심안 쪽으로 좌회전한다.

잘못된 방법입니다. 도로교통법 제25조 제3항은 '자전거등'(개인형 이동장치 포함) 운전자의 좌회전 방법을 규정합니다. 자동차처럼 교차로 중심 안쪽으로 바로 좌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훅턴' 방식으로 좌회전해야 합니다.

4. 전동킥보드를 운전하여 B지점으로 직진한 후 D방향의 녹색등화 를 기다린다.

안전한 방법입니다. 이것이 바로 도로교통법 제25조 제3항에서 규정한 '훅턴(Hook-turn)', 즉 '2단계 좌회전' 방식입니다. B지점까지 직진 신호에 따라 이동한 후, D방향의 신호가 녹색으로 바뀌면 다시 직진하여 안전하게 좌회전합니다.

5. 전동킥보드를 운전하여 C지점으로 직진한 후 즉시 B지점에서 D 방향으로 직진한다.

잘못된 방법입니다. C 지점으로 직진한 후 B 지점에서 '즉시' D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은 신호를 위반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D 방향의 신호가 녹색이 될 때까지 B 지점에서 안전하게 기다려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