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적한 시골길의 경우 차량의 통행량이 적어 중앙선을 넘어 도로를 횡단하는 자전거 운전자가 많음을 주의하여야한다. 따라서 시골길에서 주행 중 전방에 자전거를 발견하였을 경우, 서행하면서 전방을 잘 주시하여 자전거 운전자의 움직임을 잘 살펴야 한다. ③ 자동차등의 운전자는 같은 방향으로 가고 있는 자전거등의 운전자에 주의하여야하며, 그 옆을 지날 때에는 자전거등과의 충돌을 피할 수 있는 필요한 거리를 확보하였다면 통행할 수 있다.(도로교 통법 제19조)
운전선생 자체해설
노인보호구역 내 한적한 시골길에서 자전거를 만났을 때는 갑작스러운 좌회전 등 예측 불가능한 움직임에 대비해야 합니다. 교통약자를 배려하고 안전거리를 유지하며 서행하는 것이 사고를 예방하는 가장 안전한 방어운전 방법입니다.
설명 |
|---|
1. Drive close to the left-hand side of the bicycle to intimidate and dissuade it from turning left. 오답입니다. 자전거를 위협하는 행위는 도로교통법 제46조의3(난폭운전 금지)에서 금지하는 매우 위험한 보복운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상대방을 놀라게 하여 예측 불가능한 돌발 행동을 유발,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절대 해서는 안 됩니다. |
2. Cross the center line to overtake the bicycle. 오답입니다. 중앙선은 도로교통법 제13조 제3항에 따라 통행 방향을 구분하는 중요한 안전시설물입니다. 한적해 보이더라도 중앙선을 넘어 앞지르기하는 것은 반대편에서 오는 차량과 정면충돌할 위험이 매우 높은 불법 행위입니다. |
3. Slow down and wait until the bicycle safely moves off the road. 정답입니다. 도로교통법 제12조의2(노인 및 장애인 보호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따라 노인보호구역에서는 교통약자를 특별히 보호해야 합니다. 자전거의 움직임이 불확실할 때는 섣불리 행동하기보다 서행하며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Maintain a safe distance because the bicycle may turn left. 정답입니다. 도로교통법 제19조 제1항은 모든 차의 운전자는 앞차가 갑자기 정지하는 경우 충돌을 피할 수 있는 필요한 거리를 확보하도록 규정합니다. 자전거는 갑자기 방향을 바꾸거나 멈출 수 있으므로, 충분한 안전거리를 유지하는 것은 사고 예방의 기본입니다. |
5. Use the horn to hurry the bicycle along. 오답입니다. 경음기는 도로교통법 제49조 제1항 제8호에 따라 위험 방지 등 정당한 사유가 있을 때만 사용해야 합니다. 재촉을 위한 경음기 사용은 자전거 운전자, 특히 노약자를 놀라게 하여 오히려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위험한 행동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