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hi đang điều khiển xe với vận tốc 30 km/giờ
■ Khi đang điều khiển xe với vận tốc 30 km/giờ
눈길에서는 미끄러지는 사고가 많으므로 중앙선에 가깝게 운전하지 않는 것이 좋고 브레이크 페달은 여러 차례 나눠 밟는 것이 안전하다.
눈길 빙판길에서는 제동거리가 길어지므로 안전거리를 더 확보할 필요가 있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눈길이나 빙판길에서는 제동거리가 길어져 미끄러지기 쉬우므로, 감속 운행과 충분한 안전거리 확보가 가장 중요합니다. 앞차의 바퀴자국을 따라가고 중앙선과 거리를 두는 것도 미끄러짐 사고를 예방하는 안전한 운전 방법입니다.
설명 |
---|
1. Điều khiển xe đi vào vết bánh xe trước, đồng thời giữ khoảng cách với vạch phân cách giữa đường. 정답입니다. 눈이 쌓인 길에서는 앞차가 지나가며 다져진 바퀴자국을 따라가면 마찰력이 높아져 비교적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합니다. 또한, 중앙선 부근은 다른 차량과의 상충 위험이 높으므로 거리를 두는 것이 미끄러짐 사고 시 충돌을 피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는 안전운전의무를 규정한 도로교통법 제48조의 취지에 부합합니다. |
2. Trong điều kiện đường có tuyết hoặc đóng băng, vì khoảng cách phản xạ phanh dài ra nên cần giữ khoảng cách an toàn dài hơn so với thông thường. 오답입니다. 눈길이나 빙판길에서는 마찰력이 감소하여 제동거리(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완전히 멈출 때까지의 거리)가 평소보다 2~3배 이상 길어집니다. 공주거리(위험을 인지하고 브레이크를 밟기까지 이동한 거리)는 운전자의 반응속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도로 상태의 영향이 적습니다. 따라서 안전거리를 더 확보해야 하는 주된 이유는 제동거리의 증가 때문입니다. |
3. Xe đối diện có thể đạp chân phanh để vượt qua vạch phân cách giữa đường nên phải đi qua nhanh chóng. 오답입니다. 반대편 차량이 중앙선을 넘어올 위험이 있다면, 속도를 줄이고 최대한 거리를 두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야 합니다. 위험 상황에서 빨리 지나치려는 행동은 오히려 운전자의 반응 시간을 줄이고, 자신의 차량 또한 미끄러질 위험을 높여 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4. Đạp mạnh chân phanh để giảm tốc độ trên đoạn đường cua. 오답입니다. 눈길 커브길에서 브레이크를 세게 밟으면 타이어가 접지력을 잃고 차가 그대로 미끄러지거나 스핀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커브길에 진입하기 전 직선 구간에서 미리 속도를 충분히 줄이고, 커브를 돌 때는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 조작을 최소화하며 부드럽게 통과해야 합니다. |
5. Trong điều kiện đường có tuyết hoặc đóng băng, người điều khiển cần giảm tốc độ. 정답입니다.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제19조 제2항에 따르면, 노면이 얼어붙거나 눈이 20밀리미터 이상 쌓인 경우 최고속도의 100분의 50으로 감속하여 운행해야 합니다. 눈길, 빙판길에서의 감속은 제동거리를 줄이고 차량 제어력을 높이는 가장 기본적인 안전 수칙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