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터널을 막 통과하여 전방상황을 확인함 ■ 폭설이 내려 시야확보가 어려운 상황
■ 터널을 막 통과하여 전방상황을 확인함 ■ 폭설이 내려 시야확보가 어려운 상황
② 눈길이나 비·안개에서는 제동거리가 길어지므로 평소보다 안전거리를 더 두어야 한다. ④ 노면이 얼어붙은도로에서는 최고속도의 100분의 50을 줄여야 한다. ⑤ 폭설 시 터널을 통과할 경우, 어두운 곳에서 밝은 곳으로갑자기 노출됨에 따라 명순응으로 인해 일시적 시력상실을 겪을 수 있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폭설, 눈길 등 악천후 상황에서는 잠재적 위험을 예측하고 대비하는 운전이 가장 중요합니다. 차선이 보이지 않을 때는 앞차 바퀴 자국을 따라가고, 터널 진출입구 등 상습 결빙 구간에서는 연쇄 추돌 사고에 미리 대비하는 것이 안전한 운전 방법입니다.
설명 |
---|
1. 폭설로 인해 차선이 보이지 않을 경우 앞 차의 바퀴자국을 따 라서 주행한다. 정답입니다. 폭설로 인해 차선이나 도로 경계가 보이지 않을 때, 앞서간 차량의 바퀴 자국은 비교적 안전한 경로를 안내하는 좋은 지표가 됩니다. 눈이 다져져 있어 미끄러움이 덜할 수 있고, 도로의 상황을 미리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므로 이를 따라 주행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2. 눈길이나 빙판길에서는 제동거리가 짧아지므로 평소보다 안 전거리를 더 유지한다. 오답입니다. 눈길이나 빙판길에서는 노면과 타이어의 마찰력이 크게 줄어들어 제동거리가 평소보다 2~3배, 많게는 그 이상으로 훨씬 **길어집니다**. 따라서 제동거리가 짧아진다는 설명은 명백히 틀렸습니다. 제동거리가 길어지므로 평소보다 안전거리를 2배 이상 충분히 확보해야 합니다. |
3. 폭설 시 터널 진·출입구는 상습결빙구간으로 미끄러짐 사고로 인한 연쇄추돌사고를 대비한다. 정답입니다. 터널 내부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아 노면이 젖어있거나 녹아있지만, 터널 진·출입구는 그늘지고 찬 공기에 노출되어 상습적으로 결빙되는 '블랙 아이스' 위험 구간입니다. 이러한 곳에서는 갑작스러운 미끄러짐으로 인한 연쇄 추돌사고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미리 속도를 줄이고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
4. 노면이 얼어붙은 도로에서는 최고속도의 100분의 20을 줄여야 한다. 오답입니다.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제19조 제2항에 따르면, 노면이 얼어붙은 도로에서는 최고속도의 100분의 50을 줄인 속도로 운행해야 합니다. 즉, 최고속도가 100km/h인 도로라면 50km/h 이하로 주행해야 합니다. 100분의 20 감속은 비로 노면이 젖어있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
5. 터널을 통과 후 암순응으로 인해 일시적 시력상실을 겪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오답입니다. 터널처럼 어두운 곳에서 갑자기 밝은 곳으로 나올 때 발생하는 현상은 '명순응'입니다. 반대로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들어갈 때 시야 확보가 어려워지는 현상이 '암순응'입니다. 문제 상황은 터널을 막 통과한 상황이므로 '명순응'으로 인한 일시적 시야 장애에 주의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