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로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진로변경이 가능한 표시에서 손이나 방향지시기 또는 등화로써 그 행위가 끝날때까지 주변운전자에게 적극적으로 알려야 하며 다른 차의 정상적인 통행에 장애를 줄 우려가 있을 때에는 진로를변경하여서는 아니 된다.도로교통법 제19조, 제38조- 모든 차의 운전자는 차의 진로를 변경하려는 경우에 그 변경하려는 방향으로 오고 있는 다른 차의 정상적인 통행에장애를 줄 우려가 있을 때에는 진로를 변경하여서는 아니 된다.- 모든 차의 운전자는 좌회전·우회전·횡단·유턴·서행·정지 또는 후진을 하거나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진로를바꾸려고 하는 경우에는 손이나 방향지시기 또는 등화로써 그 행위가 끝날 때까지 신호를 하여야 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자동차전용도로 진출 시에는 다른 차의 정상적인 통행에 장애를 줄 우려가 있을 때에는 진로를 변경해서는 안 됩니다. 진로변경이 가능한 구간에서 방향지시등을 켜 주변에 충분히 알리고, 다른 차량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 안전한 진로 변경의 핵심입니다.
설명 |
|---|
1. Change lanes to the right, ignoring the combination of broken and solid white lines. 오답입니다. 도로에 표시된 흰색 실선은 '진로변경제한선'으로, 차선 변경을 금지하는 의미입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14조 5항에 따른 안전표지로, 사고 위험이 높은 구간에 설치됩니다. 따라서 이 선을 무시하고 진로를 변경하는 것은 법규 위반이며 매우 위험한 행동입니다. |
2. Turn on the right turning signal to let other drivers know. 정답입니다. 진로를 변경할 때는 방향지시등으로 내 차의 진행 방향을 다른 운전자에게 미리 알려야 합니다. 도로교통법 제38조 1항은 진로 변경 시 신호를 해야 할 의무를 규정하고 있으며, 이는 주변 차량이 예측하고 대비할 시간을 주어 사고를 예방하는 가장 기본적인 소통 방법입니다. |
3. Rapidly reduce speed when changing lanes to the right. 오답입니다. 급가속하며 진로를 변경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운전 습관입니다. 진로 변경은 주변 차량과의 속도를 맞추어 부드럽게 해야 합니다. 급가속은 다른 운전자를 놀라게 할 뿐만 아니라, 운전자 자신의 차량 제어 능력도 저하시켜 사고 발생 가능성을 높입니다. |
4. Change lanes right before entering at a lower speed. 오답입니다. 진출로 직전에서 급하게 속도를 낮추며 진로를 변경하는 것은 '칼치기'와 같은 난폭운전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후방 차량과의 추돌 사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진로 변경은 충분한 거리를 두고 미리 준비하여 안전하게 시도해야 합니다. |
5. Changing lanes is not allowed if doing so may obstruct other vehicles. 정답입니다. 이는 안전한 진로 변경의 가장 중요한 원칙입니다. 도로교통법 제19조 3항에 명시된 내용으로, 내 차의 진로 변경으로 인해 다른 차량이 급브레이크를 밟거나 핸들을 급하게 조작하게 만드는 상황을 초래해서는 안 됩니다. 항상 주변 교통 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