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편도 4차로 ■ 버스가 3차로에서 4차로로 차로 변경 중 ■ 도로구간 일부 공사 중
■ 편도 4차로 ■ 버스가 3차로에서 4차로로 차로 변경 중 ■ 도로구간 일부 공사 중
항상 보이지 않는 곳에 위험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운전 중일 때에는 눈앞에 위험뿐만 아니라 멀리 있는 위험까지도 예측해야 하며 위험을 대비할 수 있는 안전속도와 안전거리 유지가 중요하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도로 공사 구간에서는 예측하지 못한 위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방에 정차한 공사 차량이 있을 수 있고, 내 차선이 비어 보이자 다른 차가 갑자기 끼어들 수 있으므로 보이지 않는 위험을 예측하며 대비해야 합니다.
설명 |
---|
1. 전방에 공사 중임을 알리는 화물차가 정차 중일 수 있다. 정답입니다. 전방에 도로 공사 구간이 있으므로, 공사 안내 차량이나 작업 차량이 정차해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도로교통법 시행령 제10조 3호는 공사 등으로 인한 장애 상황을 규정하며, 이는 예측하고 대비해야 할 주요 위험 요소입니다. |
2. 2차로의 버스가 안전운전을 위해 속도를 낮출 수 있다. 오답입니다. 2차로의 버스가 속도를 줄이는 것은 일반적인 교통 흐름의 일부일 수 있으나, 이 상황에서 가장 직접적이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위험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공사 현장과 차선 변경 상황이 더 즉각적인 위험 요소입니다. |
3. 4차로로 진로 변경한 버스가 계속 진행할 수 있다. 오답입니다. 버스가 4차로로 차선을 변경한 후 계속 직진하는 것은 정상적이고 안전한 주행 방법입니다. 이는 위험 상황이 아니라 예측 가능한 교통 흐름에 해당합니다. |
4. 1차로 차량이 속도를 높여 주행할 수 있다. 오답입니다. 전방에 공사 구간이 있어 전체적인 차량 흐름이 느려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1차로 차량이 갑자기 속도를 높이는 것은 일반적인 예측과 다르며, 직접적인 위험 요인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
5. 다른 차량이 내 앞으로 앞지르기 할 수 있다. 정답입니다. 앞서가던 버스가 차선을 변경하면서 내 차 앞에 공간이 생겼습니다. 다른 차로의 운전자가 이 공간으로 갑자기 끼어들기(앞지르기)를 시도할 수 있으므로, 항상 주변 차량의 움직임을 주시하며 방어운전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