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로교통법19조③ 모든차의 운전자는 차의 진로를 변경하려는 경우에 그 변경하려는 방향으로 오고 있는 다른 차의 정상적인 통행에 장애를 줄 우려가 있을 때에는 진로를 변경하여서는 아니된다. 한편, 진출입로 등에서는 진로변경 행위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감속을 통해 안전에 유의하여야 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다른 차가 갑자기 끼어들 때 보복 운전이나 급가속은 더 큰 사고를 유발합니다. 사고 예방을 위한 방어운전이 최우선이므로, 감속하여 안전거리를 확보하거나 안전한 차로로 변경하는 것이 가장 올바른 방법입니다.
설명 |
|---|
1. Step on the brakes to express an objection to the sudden change of lane of the white car in front of you. 흰색차 앞에서 제동하여 항의하는 행위는 보복 운전에 해당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행동입니다. 감정적인 대응은 더 큰 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다른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해서는 안 됩니다. |
2. Slow down and maintain a safe distance to allow the white car to change lanes safely. 감속하여 흰색 차량이 안전하게 진입할 공간을 만들어주는 것은 추돌 사고를 예방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어운전입니다. 도로교통법 제19조(진로 변경 방법)는 다른 차의 정상 통행에 장애를 줄 우려가 있을 때 진로 변경을 금지하지만, 이런 상황에서는 사고 회피가 우선입니다. |
3. Change to the 4th lane to avoid a rear-end collision. 흰색 차량이 빠져나온 4차로가 비어있고 안전하다면, 해당 차로로 진로를 변경하여 추돌 위험을 피하는 것도 안전한 운전 방법입니다. 이는 위험 상황으로부터 능동적으로 벗어나는 효과적인 회피 기동에 해당합니다. |
4. Avoid a collision with the white car by rapidly accelerating. 급가속은 흰색 차량과의 거리를 급격히 좁혀 오히려 추돌 위험을 높이는 행동입니다. 상대 차량의 움직임을 예측하기 어려운 돌발 상황에서는 감속하여 대응할 시간을 버는 것이 안전의 기본입니다. 가속은 위험을 가중시킵니다. |
5. Make a sudden stop while turning the steering wheel to the left. 핸들을 돌리며 급제동하는 것은 차량의 제어력을 잃게 하여 미끄러지거나 전복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조작입니다. 특히 왼쪽 차로는 지하차도로 이어지므로, 갑작스러운 진입은 다른 차량과의 연쇄 추돌 사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