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량 지정체 상황에서는 이를 피하기 위해 진로변경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항시 전방을 주시하며 운전해야 한다. 또한 빗길에서는 평소보다 제동거리가 길어지므로 충분한 안전거리와 감속이 필요하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빗길에서는 제동거리가 길어지므로 감속하고, 교통 정체로 인한 진로변경 차량에는 방어운전 자세로 양보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급차선 변경이나 속도를 높여 방해하는 행위는 사고 위험을 높이는 위험한 운전입니다.
설명 |
---|
1. Quickly change to the third lane to avoid vehicles that are changing lanes. 급히 차로를 변경하는 것은 빗길에서 미끄러짐을 유발할 수 있으며, 3차로를 주행하는 다른 차량의 통행을 방해하여 연쇄 추돌의 위험을 높입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48조(안전운전 의무)를 위반하는 위험한 행동입니다. |
2. Speed up to prevent vehicles in the first lane from merging. 진로를 변경하려는 차량을 막기 위해 속도를 높이는 것은 경쟁적이고 공격적인 운전 방식으로, 충돌 사고의 위험을 크게 높입니다. 도로교통법 제19조(안전거리 확보 등)의 취지에 어긋나며, 방어운전의 기본을 지키지 않은 행동입니다. |
3. Use the horn and high beams to prevent vehicles from changing lanes. 경음기나 상향등을 위협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다른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보복 운전을 유발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행위입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49조(모든 운전자의 준수사항 등)의 안전운전 의무를 위반하는 행동입니다. |
4. Yield to merging vehicles by slowing down. 정체 구간에서 빠져나오려는 차량이 있을 것을 예측하고, 감속하여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양보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48조(안전운전 의무)에 명시된 방어운전의 기본 원칙에 해당합니다. |
5. Slow down in advance as the braking distances are longer on wet roads. 빗길에서는 타이어와 노면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하여 제동거리가 평소보다 길어집니다.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제19조 제2항에 따라 비가 내려 노면이 젖어있는 경우에는 최고속도의 100분의 20을 줄인 속도로 운행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