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편도 1차로 내리막길 ■ 내리막길 끝 부분에 신호등 있는 교차로 ■ 차량 신호는 녹색
■ 편도 1차로 내리막길 ■ 내리막길 끝 부분에 신호등 있는 교차로 ■ 차량 신호는 녹색
운전선생 자체해설
내리막길에서 빠른 속도로 주행하면 제동이 어려워 교차로의 갑작스러운 상황에 대처하기 어렵습니다. 늘어난 정지거리 때문에 신호 변경 시 좌회전하는 차량과 충돌하거나, 급정지로 인해 뒤따르는 차량과 추돌할 위험이 가장 높습니다.
설명 |
---|
1. 반대편 도로에서 올라오고 있는 차량과의 충돌 문제의 상황은 중앙선이 없는 '편도 1차로' 내리막길입니다. 따라서 반대편 차로에서 올라오는 차량은 원칙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충돌 가능성이 없습니다. |
2. 교차로 반대편 도로에서 진행하는 차와의 충돌 현재 주행 중인 차량의 신호가 녹색이므로, 교차로 건너편 도로에서 마주 오는 차량은 적색 신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직접적인 충돌 위험은 다른 상황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
3. 반대편 보도 위에 걸어가고 있는 보행자와의 충돌 보행자는 보도 위를 통행하고 있으므로 직접적인 사고 위험 대상이 아닙니다. 운전자가 차량 통제력을 완전히 상실하지 않는 이상, 보도 위의 보행자와의 충돌 가능성은 다른 차량과의 사고 가능성보다 현저히 낮습니다. |
4. 전방 교차로 차량 신호가 바뀌면서 우측 도로에서 좌회전하는 정답입니다. 내리막길에서는 가속으로 인해 제동거리가 평지보다 훨씬 길어집니다. 교차로의 녹색 신호가 황색 신호로 바뀌는 순간, 우측 도로의 차량이 좌회전 신호를 받고 진입할 수 있습니다. 이때 빠른 속도로 인해 제때 정지하지 못하고 교차로에 진입하면서 좌회전 차량과 충돌할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
5. 전방 교차로 차량 신호가 바뀌면서 급정지하는 순간 뒤따르는 차와의 추돌 정답입니다. 내리막길에서는 중력의 영향으로 차량 속도가 쉽게 증가하며, 이때 교차로 신호가 바뀌면 급제동을 하게 될 가능성이 큽니다. 운전자가 급정지할 경우, 같은 내리막길을 따라오던 뒤차 역시 제동거리가 길어져 앞차를 추돌할 사고 위험성이 매우 높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