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왼쪽에서 재활용품 정리를 하는 사람 ■ 오른쪽 흰색자동차에 켜져 있는 흰색등화 ■ 실내후사경에 확인되는 자동차
■ 왼쪽에서 재활용품 정리를 하는 사람 ■ 오른쪽 흰색자동차에 켜져 있는 흰색등화 ■ 실내후사경에 확인되는 자동차
제시된 상황은 주거지역 및 공동주택을 통행하는 중에 빈번하게 경험하게 되는 상황이다. 이 때 아파트 조경수,음식물쓰레기 수거통, 기타 공작물 등에 가려져 있는 장소는 항시 주의해야 한다. 위의 A지역에 특별히 주의해야하며 서행으로 접근하여 좌회전하기전 정차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흰색승용차는 흰색등이 켜져 있는 상태이므로 후진이 예측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후진을 하는 상황인지, 후진 기어를 조작한 상태에서 정차중인지를 주의하며살펴야 한다. 주거지역의 어린이의 행동은 예측이 불가하므로 어린이의 차도진입을 예측하며 운전해야 한다. 마대와 충돌할 가능성 및 뒤차와의 충돌 가능성은 현저히 낮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공동주택 주차장과 같이 시야가 제한되고 돌발상황이 잦은 곳에서는 정지된 물체나 후방 차량보다 예측 불가능한 위험 요소를 최우선으로 대비해야 합니다. 따라서 보이지 않는 공간의 위험을 예측하고 서행하며 주변을 살피는 것이 핵심입니다.
설명 |
---|
1. 공작물에 가려져 확인되지 않는 A 지역 A 지역은 주차된 차량이나 건물 구조물에 가려져 있어 운전자의 시야가 완전히 확보되지 않는 사각지대입니다. 이런 곳에서는 갑자기 사람이나 다른 차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가장 먼저 대비해야 할 위험 요소입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48조(안전운전 의무)에서 규정한 포괄적인 안전운전 원칙에 따라, 운전자가 위험을 예측하고 대비해야 할 의무에 해당합니다. |
2. 후진하려는 흰색 자동차 흰색 자동차는 후진등(흰색 등화)이 켜져 있어 후진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주차 공간에서 갑자기 후진하는 차량은 충돌 위험이 크므로, 운전자는 이 차량의 움직임을 끝까지 주시하며 대비해야 합니다. 도로교통법 시행령 [별표 2]에 따르면 후진등은 후진 신호이므로 이를 인지하고 잠재적 위험에 대비하는 것이 안전운전의 기본입니다. |
3. 재활용수거용 마대와 충돌할 가능성 재활용 수거용 마대는 스스로 움직이지 않는 정지된 물체입니다. 운전자의 시야에 명확히 확인되므로 충분히 피해서 운전할 수 있습니다. 다른 동적인 위험 요소들에 비해 충돌 가능성이 현저히 낮으므로, 대비해야 할 위험 요소와는 거리가 멉니다. |
4. 놀이하고 있는 어린이의 차도 진입 공동주택 단지 내 도로는 어린이들이 놀이 공간으로 인식할 수 있어 갑자기 뛰어들 가능성이 항상 존재합니다. 어린이의 행동은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운전자는 항상 어린이가 나타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운전해야 합니다. 도로교통법 제12조(어린이 보호구역의 지정 및 관리)의 취지처럼, 어린이는 항상 최우선으로 보호해야 할 대상입니다. |
5. 뒤쪽 자동차와의 충돌 가능성 실내 후사경으로 뒤쪽 자동차가 확인되지만, 현재 내 차는 좌회전을 위해 앞으로 나아가려는 상황입니다. 뒤차가 갑자기 추돌할 가능성은 다른 전방 및 측면의 위험 요소(사각지대, 후진 차량, 어린이)에 비해 현저히 낮습니다. 따라서 이 상황에서는 대비해야 할 위험 요소와의 거리가 가장 먼 것 중 하나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