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왼쪽에서 재활용품 정리를 하는 사람 ■ 오른쪽 흰색자동차에 켜져 있는 흰색등화 ■ 실내후사경에 확인되는 자동차
■ 왼쪽에서 재활용품 정리를 하는 사람 ■ 오른쪽 흰색자동차에 켜져 있는 흰색등화 ■ 실내후사경에 확인되는 자동차
제시된 상황은 주거지역 및 공동주택을 통행하는 중에 빈번하게 경험하게 되는 상황이다. 이 때 아파트 조경수, 음식물쓰레기 수거통, 기타 공작물 등에 가려져 있는 장소는 항시 주의해야 한다. 위의 A지역에 특별히 주의해야 하며 서행으로 접근하여 좌회전하기전 정차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흰색승용차는 흰색등이 켜져 있는 상태이므로 후진이 예측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후진을 하는 상황인지, 후진 기어를 조작한 상태에서 정차중인지를 주의하며 살펴야 한다. 주거지역의 어린이의 행동은 예측이 불가하므로 어린이의 차도진입을 예측하며 운전해야 한다. 마대와 충돌할 가능성 및 뒤차와의 충돌 가능성은 현저히 낮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이 문제는 공동주택 주차장과 같이 시야가 제한되고 돌발 상황이 많은 곳에서 우선적으로 대비해야 할 위험을 판단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움직이는 사람이나 다른 자동차와 같이 예측이 어려운 대상이 가장 큰 위험 요소이므로, 정지해 있는 물체나 후방 차량과의 충돌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설명 |
---|
1. 공작물에 가려져 확인되지 않는 A 지역 A 지역은 공작물에 가려진 '사각지대'입니다. 이런 곳에서는 보행자나 다른 차량이 갑자기 나타날 수 있어 매우 위험합니다. 도로교통법 제48조(안전운전 의무)에 따라 운전자는 주변 교통상황을 잘 살피고 잠재적 위험에 대비해야 하므로, 보이지 않는 A 지역은 반드시 대비해야 할 위험 요소입니다. |
2. 후진하려는 흰색 자동차 오답입니다. 흰색 자동차는 후진등이 켜져 있으므로 후진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도로교통법 시행령 [별표 2]에 따르면 후진 시에는 후진등을 켜야 합니다. 따라서 운전자는 이 차량이 실제로 움직이는지, 또는 언제 움직일지 모르므로 충돌 위험에 대비하여 서행하며 상황을 주시해야 합니다. |
3. 재활용수거용 마대와 충돌할 가능성 정답입니다. 재활용 마대는 움직이지 않는 고정된 물체입니다. 운전자가 정상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면 충분히 피할 수 있으며, 충돌하더라도 인명사고로 이어질 위험성은 매우 낮습니다. 따라서 다른 잠재적 위험 요소들에 비해 대비해야 할 위험의 우선순위가 현저히 낮습니다. |
4. 놀이하고 있는 어린이의 차도 진입 오답입니다. 주택가나 아파트 단지에서는 어린이들의 돌발 행동을 항상 예측해야 합니다. 어린이는 갑자기 차도로 뛰어들 수 있으므로, 운전자는 어린이를 발견하면 즉시 감속하고 어린이가 안전한 것을 확인한 후 통과해야 합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12조(어린이 보호구역의 지정 및 관리)의 보호 정신과도 일맥상통합니다. |
5. 뒤쪽 자동차와의 충돌 가능성 정답입니다. 현재 좌회전을 하려는 상황으로, 주된 위험은 전방과 좌측의 사각지대, 그리고 후진하려는 흰색 차에서 발생합니다. 실내후사경으로 보이는 뒤쪽 자동차는 현재 내 차의 움직임을 주시하고 있을 것이므로, 급정거 등 돌발 행동만 하지 않는다면 충돌 위험성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전방의 위험 요소에 더 집중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