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형 교차로 ■ 1차로(좌회전·직진), 2차로(직진·우회전) ■ 1차로 신호대기 중 ■ 3색 등화 중 녹색 신호로 바뀜
■ + 형 교차로 ■ 1차로(좌회전·직진), 2차로(직진·우회전) ■ 1차로 신호대기 중 ■ 3색 등화 중 녹색 신호로 바뀜
비보호 좌회전하는 때에는 반대편 도로에서 녹색 신호에 주행하는 직진 차량에 주의해야 하며, 그 차량의 속도가생각보다 빠를 수 있고 반대편 1차로의 승합차 때문에 2차로에서 달려오는 직진 차량을 보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왼쪽 도로에 횡단보도가 있는 경우 보행하는 보행자 등에 대해서 주의해야 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비보호 좌회전 시 가장 큰 위험은 반대편 직진 차량과 횡단보도 보행자의 안전을 확인한 후 통과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특히 큰 차에 가려진 사각지대의 차량과 좌회전 직후의 보행자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설명 |
---|
1. 반대편 2차로에서 빠르게 직진해 오는 차량이 있을 수 있다. 정답. 비보호 좌회전 시 가장 주의해야 할 대상은 반대편 직진 차량입니다. 특히 그림처럼 1차로의 화물차에 시야가 가려 2차로에서 빠르게 달려오는 차량을 발견하지 못할 수 있어 매우 위험합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제6조 [별표 2]에 따라 녹색 등화 시 직진 차량이 우선권을 갖기 때문입니다. |
2. 반대편 1차로 화물차 뒤에 차량이 좌회전하기 위해 정지해 있 을 수 있다. 오답. 반대편 1차로 화물차 뒤에 차량이 정지해 있다면 직접적인 충돌 위험은 없습니다. 비보호 좌회전 시에는 정지한 차량보다 주행 중인 차량이나 보행자가 훨씬 더 큰 위험 요인이 됩니다. |
3. 뒤따르는 뒤쪽 차량이 갑자기 2차로로 진로 변경할 수 있다. 오답. 뒤따르는 차량의 움직임도 주의해야 하지만, 비보호 좌회전이라는 특정 상황에서 가장 직접적이고 큰 위험은 반대편에서 다가오는 대상과의 충돌입니다. 후방 차량의 위험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
4. 왼쪽 도로의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너갈 수 있다. 정답. 녹색 신호에 좌회전할 때, 교차하는 도로의 횡단보도 역시 보행자 신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도로교통법 제27조 제1항(보행자의 보호)에 따라 운전자는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를 최우선으로 보호해야 하므로 매우 중요한 위험 요인입니다. |
5. 반대편 1차로에서 화물차가 비보호 좌회전을 할 수 있다. 오답. 반대편 1차로의 화물차가 동시에 비보호 좌회전을 시도할 수는 있지만, 이는 나와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이므로 직접적인 충돌 위험은 적습니다. 오히려 화물차 뒤에서 직진하는 차량이 더 큰 위험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