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ㅓ 교차로 ■ 1차로(유턴, 좌회전), 2차로(좌회전), 3·4차로(직진) ■ 1차로에서 신호대기 중 ■ 4색 등화 중 녹색신호에서 좌회전 신호로 바뀜
■ ㅓ 교차로 ■ 1차로(유턴, 좌회전), 2차로(좌회전), 3·4차로(직진) ■ 1차로에서 신호대기 중 ■ 4색 등화 중 녹색신호에서 좌회전 신호로 바뀜
운전선생 자체해설
유턴은 허용된 신호에 따라 지정된 점선 구역 내에서 순서대로 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하지만 신호만 믿어서는 안 되며, 반대편의 신호위반 차량 등 예측 불가능한 위험에 대비해 항상 주변을 직접 살피고 안전을 확인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설명 |
---|
1. 유턴이 가능한 신호에 흰색 점선의 유턴구역 내에서 앞차부터 순서대로 유턴한다. 정답입니다. 유턴은 도로교통법에 명시된 규칙에 따라 허용된 신호(문제에서는 좌회전 신호)에, 지정된 구역(흰색 점선) 안에서, 앞차부터 순서대로 진행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올바른 방법입니다. 이는 다른 차량과의 충돌을 예방하고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
2. 왼쪽 부도로에서 주도로로 합류하는 우회전하는 차량은 조심할 필요가 없다. 잘못된 설명입니다. 유턴을 완료하면 주도로의 직진 차로로 합류하게 됩니다. 이때 부도로에서 우회전하여 합류하는 차량과 동선이 겹쳐 충돌할 위험이 있습니다. 도로교통법 제48조(안전운전 의무)에 따라 운전자는 주변 모든 차량의 움직임을 예측하고 사고를 방지할 의무가 있습니다. |
3. 반대편 도로의 차량에 방해를 주지 않는다면 신호에 관계없이 언제든 유턴할 수 있다. 잘못된 설명입니다. 유턴은 반드시 신호기나 안전표지의 지시에 따라야 합니다. 신호를 무시하고 유턴하는 것은 중대한 신호위반 행위(도로교통법 제5조 위반)이며, 반대편에서 정상 신호에 따라 직진해 오는 차량과 정면으로 충돌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행동입니다. |
4. 내 차량 바로 뒤에서 먼저 유턴하는 차량은 주의할 필요가 없다. 잘못된 설명입니다. 뒤따르는 차량이 내 차의 움직임을 예측하지 못하고 먼저 유턴을 시도하거나 너무 가깝게 붙을 수 있습니다. 유턴 시에는 전방뿐만 아니라 후방과 측면의 상황도 사이드미러와 룸미러를 통해 계속 확인하여 다른 차량과의 안전거리를 확보해야 합니다. |
5. 반대편 도로에서 신호위반으로 직진하는 차량이 있을 수 있기에 눈으로 확인하고 유턴한다. 정답입니다. 내가 녹색 좌회전 신호를 받았더라도 반대편 차량이 적색 신호를 위반하고 직진할 가능성은 언제나 존재합니다. 신호에만 의존하지 않고, 직접 눈으로 반대편 차로의 상황을 확인하는 '방어운전' 자세는 예기치 못한 사고를 막는 가장 중요한 안전 수칙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