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형 교차로 ■ 1차로(좌회전), 2차로(직진), 3차로(직진·우회 전) ■ 4색 등화 중 녹색 신호 ■ 앞쪽에 차량이 정체되어 있는 도로 상황 ■ 2차로 주행 중

■ + 형 교차로 ■ 1차로(좌회전), 2차로(직진), 3차로(직진·우회 전) ■ 4색 등화 중 녹색 신호 ■ 앞쪽에 차량이 정체되어 있는 도로 상황 ■ 2차로 주행 중
교차로의 정차금지지대 표시는 통행량이 많아서 상습적인 정체가 발생하는 곳이다. 비록 녹색 신호라고 하더라도꼬리물기로 무리하게 통과하다가 교차로 안에서 정체되어 다른 차량의 흐름을 방해해서는 안된다. 진입하려는 교차로의 정체가 예상되면 정지선 전에 정지하고 다음 녹색 신호에 출발하는 여유로운 운전자가 되자. 앞쪽 3차로에서 비어있는 2차로로 급하게 진로 변경하는 차량에 대해서도 주의할 필요가 있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녹색 신호라도 교차로 내 정체가 예상되면 진입해서는 안 됩니다. 꼬리물기는 다른 차량의 흐름을 막아 교차로 전체를 마비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정지선 직전에 정지해야 합니다. 또한, 정체된 차로의 차량이 끼어들 것에 대비하는 방어운전 자세가 필요합니다.
설명 |
|---|
1. 많은 차량의 교차로 통과를 위해 앞 차와 최대한 붙어서 주행한 다. 오답입니다. 앞 차와 거리를 가깝게 붙어 주행하는 '안전거리 미확보'는 매우 위험한 운전 습관입니다. 앞차가 급정지할 경우 추돌 사고의 원인이 됩니다. 도로교통법 제19조(안전거리 확보 등)에 따라 모든 차의 운전자는 앞차가 갑자기 정지하는 경우 충돌을 피할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해야 합니다. |
2. 앞쪽 3차로에서 왼쪽으로 갑자기 진로 변경하는 차량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정답입니다. 비어있는 2차로로 주행 중이고 옆 3차로는 정체되어 있으므로, 3차로의 운전자가 답답함을 느껴 갑자기 2차로로 끼어들기를 시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항상 주변 차량의 움직임을 예측하고 이에 대비하는 방어운전이 필요합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48조(안전운전 의무)의 기본 원칙에도 부합합니다. |
3. 앞쪽 차량의 정체 여부와 관계없이 교차로에 진입하여 소통을 원 활하게 한다. 오답입니다. 이는 '꼬리물기'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위법 행위입니다. 녹색 신호라도 교차로 내에 정차할 우려가 있다면 진입해서는 안 됩니다. 도로교통법 제25조(교차로 통행방법) 제5항은 다른 차의 통행에 방해가 될 우려가 있을 때에는 교차로에 들어가서는 안 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
4. 비상 점멸등을 켜고 차량이 없는 반대편 1차로로 안전하게 앞질 러 직진한다. 오답입니다. 중앙선을 넘어 반대편 차로로 앞지르는 행위는 '중앙선 침범'으로, 12대 중과실 사고에 해당하는 매우 중대한 법규 위반입니다. 정면충돌과 같은 대형 사고를 유발할 수 있어 절대 해서는 안 될 위험한 행동입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13조(차마의 통행) 제3항을 위반하는 행위입니다. |
5. 정체로 인해 녹색 신호에 교차로를 통과 못 할 것 같으면 정지선 직전에 정지한다. 정답입니다. 교차로 정체로 인해 녹색 신호에 통과하지 못할 것이 예상될 경우, 정지선 직전에 정지하는 것이 올바른 운전 방법입니다. 이는 '꼬리물기'를 방지하여 교차로 내 원활한 소통을 돕는 안전하고 배려심 있는 운전입니다. 도로교통법 제25조(교차로 통행방법) 제5항에 따른 의무이기도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