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형 교차로 ■ 1차로(좌회전), 2차로(직진), 3차로(직진·우회 전) ■ 4색 등화 중 적색신호에서 녹색·좌회전 동 시 신호로 바뀜 ■ 2차로에서 출발하는 상황

■ + 형 교차로 ■ 1차로(좌회전), 2차로(직진), 3차로(직진·우회 전) ■ 4색 등화 중 적색신호에서 녹색·좌회전 동 시 신호로 바뀜 ■ 2차로에서 출발하는 상황
운전자는 교차로에서 좌회전이나 우회전하기 위해서는 미리 좌·우회전 차로로 진입해서 좌·우회전해야 한다.교차로에서 녹색 및 좌회전 동시 신호 변경 직후 1차로에서 먼저 출발한 좌회전 차량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는이유는 왼쪽 도로에서 신호 위반하는 차량 등 위험 요인이 발생했다는 뜻이기에 2차로나 3차로 차량은 서행하면서위험 요인에 대비해야 하고, 또한 교차로, 터널 안, 다리 위에서는 다른 차를 앞지르지 못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교차로 신호가 녹색으로 바뀌었더라도, 다른 차량의 갑작스러운 정지 등 돌발 상황은 숨겨진 위험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방어운전 자세로 주변을 살피고 서행하며 통과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설명 |
|---|
1. 신호가 바뀐 직후에 빠르게 가속하여 신속히 교차로를 통과한다. 신호가 바뀌자마자 빠르게 가속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교차로에서는 예측하지 못한 신호위반 차량이나 보행자가 있을 수 있으므로, 녹색 신호라도 주변 상황을 살피며 서서히 출발해야 합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25조(교차로 통행방법)의 안전 운행 원칙에 부합하지 않습니다. |
2. 왼쪽 방향지시등을 켜고 다른 차량에 주의하면서 좌회전한다. 2차로는 직진 차로이므로 좌회전을 할 수 없습니다. 좌회전을 위해서는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 6]에 따른 노면표시에 따라 미리 좌회전 차로인 1차로로 진로를 변경해야 합니다. 교차로 내에서의 갑작스러운 진로 변경은 매우 위험한 행위입니다. |
3. 교차로 내에서 급가속하여 오른쪽으로 진로변경하며 통과한다. 교차로 내에서는 진로 변경(차선 변경)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특히 급가속하며 진로를 변경하는 행위는 다른 차량의 운행을 방해하고 대형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운전 방법입니다. 도로교통법 제22조(앞지르기 금지)에서도 교차로는 앞지르기가 금지된 장소입니다. |
4. 좌회전하는 흰색 승용차가 멈추는 이유를 생각하고 서행하면서 위험에 대비한다. 정답입니다. 좌회전 신호를 받은 흰색 승용차가 멈추는 것은 왼편에서 신호를 위반하는 차량 등 돌발 위험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신호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함께 위험을 예측하고 서행하며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올바른 방어운전 방법입니다. |
5. 신호위반 차량이 있는지 좌·우를 확인하면서 서서히 속도를 높 여 통과한다. 정답입니다. 녹색 신호가 켜졌더라도 즉시 출발하기보다, 좌우를 확인하여 신호를 위반하는 차량이나 보행자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특히 신호 변경 직후에는 예측 출발이나 꼬리물기 차량으로 인한 사고 위험이 높으므로, 안전을 확인한 후 서서히 출발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