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린이 보호구역이 해제되더라도 이면도로에서 속도를 높여 주행하는 것은 지양해야 하며, 신호기 없는 횡단보도에서는 보행자의 안전을 확인하며 서행해야 한다. 일몰 상황이긴 하나 상향등을 계속 켜고 운전하는 것은 맞은편 차량과 보행자에게 눈부심이 발생할 수 있어 지양하고, 황색점선은 정차는 허용하나 주차는 금지하는 뜻이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어린이 보호구역과 중앙선 없는 이면도로에서는 보행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보호구역이 해제되더라도 횡단보도 앞에서는 보행자 유무를 확인하며 서행하고, 보행자 통행이 잦은 이면도로에서는 항상 주변을 살피며 운전해야 합니다.
설명 |
---|
1. Speed up in advance before the end of the school zone. 어린이 보호구역 해제 표지판이 보이더라도, 그 지점을 완전히 통과하기 전까지는 보호구역 내 제한 속도와 안전 의무를 준수해야 합니다. 미리 속도를 높이는 것은 갑작스러운 돌발 상황에 대처할 수 없게 만드는 매우 위험한 운전 습관입니다. |
2. Drive with extra attention to pedestrian safety on unlaned roads with no centerline. 정답입니다. 사진과 같이 중앙선이 없는 이면도로는 보도와 차도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아 보행자가 도로의 여러 부분으로 통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운전자는 항상 보행자가 나타날 수 있음을 예측하고, 안전한 거리를 유지하며 서행해야 합니다. |
3. Check for pedestrians in crosswalks even outside of a school zone and proceed slowly. 정답입니다. 어린이 보호구역 해제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운전자는 횡단보도 앞에서 보행자의 안전을 확인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도로교통법 제27조(보행자의 보호)에 따라, 횡단하려는 보행자가 있다면 반드시 일시정지해야 합니다. |
4. Since it is dusk, turn on the high beams to check the safety ahead and keep honking while driving. 마주 오는 차 또는 보행자가 있을 때 상향등을 계속 켜면 시야를 방해하여 매우 위험합니다. 도로교통법 시행령 제20조에 따라 교통이 빈번한 곳에서는 전조등 불빛의 방향을 아래로 유지해야 합니다. 불필요한 경음기 사용 또한 금지됩니다. |
5. Parking is allowed, as yellow dotted lines on the right side of the road indicate that parking is allowed but stopping is prohibited. 도로 우측의 황색 점선은 '주차는 금지, 정차는 가능'을 의미합니다.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 6]에 따르면 5분 이내의 정차는 허용되지만, 운전자가 차를 떠나 즉시 운전할 수 없는 상태인 주차는 금지됩니다. 따라서 설명이 틀렸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