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으로 할인 받고
운전학원 예약해보세요!
QR 코드 이미지
앱스토어 이미지플레이스토어 이미지
운전선생 로고지금 바로
예약 가능한 학원을 찾아보세요!
돈 이미지더이상 직접 가서 예약하지 마세요!
돈 이미지운전학원 최저가로 예약하세요!
Which of the following descriptions abut traffic safety signs are true in the situation? (Select TWO answers)
 Which of the following descriptions abut traffic safety signs are true in the situation? (Select TWO answers)
도로교통공단 공식 해설

노면의 30은 최고 제한속도를 의미하며, 횡단보도는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황색으로 표시할 수 있고, 지그재그 형태의 백색실선 표시는 진로변경 제한과 서행의 뜻을 동시에 지니며, 차량신호기에 표시된 횡단보도 표지는 전방에 횡단보도가 있다는 것이고, 적색 아스팔트는 어린이 보호구역뿐만 아니라 노인 보호구역, 장애인 보호구역에도 사용되고 있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어린이 보호구역 내 교통안전표지들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도로 노면의 숫자 '30'은 최고 제한속도를, 신호기에 부착된 표지는 전방 횡단보도를 의미하는 것이 맞습니다.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는 어린이의 안전을 위해 모든 교통안전표지를 정확히 이해하고 준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설명

1. The "30" marked on the pavement indicates that the maximum speed limit on the road is 30 km/h.

정답입니다. 도로 노면에 숫자로 표시된 교통안전표지는 해당 구간의 최고 속도를 제한하는 노면표시입니다. 사진 속 어린이 보호구역의 '30'은 시속 30킬로미터 이하로 주행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어린이의 돌발 행동에 대비하기 위한 규정이므로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관련 근거는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 6] 5. 노면표시의 '524'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The yellow crosswalk markings are incorrect, as all crosswalks should be marked in white.

오답입니다. 횡단보도는 일반적으로 백색으로 표시되지만,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는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황색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어린이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특별 규정입니다. 따라서 황색 횡단보도는 잘못된 시설물이 아닙니다. 관련 근거는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 6] 5. 노면표시의 '532' 및 '533'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Zigzag solid white lines indicate that you should slow down, and lane changes are allowed in those sections.

오답입니다. 지그재그 형태의 백색 실선은 운전자에게 서행을 알리는 동시에, 해당 구간 내에서 진로 변경(차선 변경)을 금지하는 의미를 가집니다. 주로 횡단보도 전에 설치되어, 차선 변경 중 보행자를 보지 못하는 위험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진로변경이 가능하다는 설명은 틀렸습니다. 관련 근거는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 6] 5. 노면표시의 '520'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4. An indication sign attached to the traffic light means that there is a crosswalk.

정답입니다. 차량 신호기에 부착된 사람 그림의 표지판은 '횡단보도 안전표지'입니다. 이는 운전자에게 전방에 횡단보도가 있음을 미리 알려주어 보행자 보호를 위해 주의하며 운전하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어린이 보호구역에서는 아이들의 갑작스러운 횡단에 대비할 수 있도록 이 표지를 주의 깊게 확인해야 합니다. 관련 근거는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 6] 3. 지시표지의 '322'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5. Asphalt paved in red is used only in school zones.

오답입니다. 적색으로 포장된 도로는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한 것으로, 어린이 보호구역뿐만 아니라 「도로교통법 시행령」 제8조의2에 따라 노인 보호구역, 장애인 보호구역 등 다른 교통약자 보호구역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는 운전자에게 해당 구역이 특별한 보호가 필요한 곳임을 시각적으로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