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린이 보호구역 내이므로 최고속도는 30km/h 이내를 준수하고, 어린이의 움직임에 주의하면서 전방을 잘 살펴야 한다. 어린이 보호구역내 사고는 안전운전 불이행, 보행자 보호의무위반, 불법 주・정차, 신호위반 등 법규를 지키지 않는 것이 원인이다. 그리고 보행자가 횡단할 때에는 반드시 일시정지한 후 보행자의 횡단이 끝나면 안전을 확인하고 통과하여야 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어린이 보호구역에서는 시속 30km 이내로 서행하며 언제든 나타날 수 있는 어린이에 대비하는 방어운전 자세가 필수적입니다. 도로교통법은 어린이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보호하기 위해 운전자의 각별한 주의 의무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설명 |
---|
1. 在时速30公里以内缓慢行驶。 정답입니다. 도로교통법 제12조(어린이 보호구역의 지정 및 관리) 제1항에 따라 어린이 보호구역 내 주행 속도는 시속 30킬로미터 이내로 제한됩니다. 이는 어린이의 돌발 행동에 즉시 대처하고 사고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안전 규정입니다. |
2. 由于前方没有行驶的车辆,所以快速行驶。 오답입니다. 어린이 보호구역에서는 다른 차량의 유무와 상관없이 항상 잠재적 위험에 대비해야 합니다. 전방에 차가 없다는 이유로 빠르게 주행하는 것은 어린이의 갑작스러운 도로 진입 시 대처할 수 없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3. 不能长时间停车,但可以临时停车。 오답입니다. 도로교통법 제32조(정차 및 주차의 금지) 제8호에 따라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는 원칙적으로 주차와 정차가 모두 금지됩니다. 불법 주정차 차량은 운전자의 시야를 가려 보행 중인 어린이를 발견하기 어렵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
4. 通过人行横道时,无论是否有儿童,都边鸣笛边快速行驶。 오답입니다. 도로교통법 제27조(보행자의 보호) 제7항에 따라 어린이 보호구역 내 신호등 없는 횡단보도에서는 보행자 유무와 관계없이 반드시 일시정지해야 합니다. 경음기를 울리며 빠르게 주행하는 것은 보행자를 위협하는 매우 위험한 행위입니다. |
5. 即使安装有防止横穿道路的防护栏,行驶时也应注意突然出现的儿童。 정답입니다. 안전 울타리가 어린이의 무단횡단을 막아주지만, 모든 위험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는 없습니다. 도로교통법 제48조(안전운전 및 친환경 경제운전의 의무)에 따라 운전자는 항상 돌발 상황에 대비하며 주변을 살피는 방어운전 자세를 유지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