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운전선생 자체해설
어린이 보호구역에서는 어린이가 보이지 않더라도 항상 지정된 최고 제한속도를 준수하고 주변을 잘 살펴야 합니다. 언제 어디서든 어린이가 나타날 수 있다는 예측 운전이 필수적이며, 이는 모든 운전자의 법적 의무이자 가장 중요한 안전 수칙입니다.
설명 |
---|
1. 진행방향에 차량이 없으므로 도로 우측에 정차할 수 있다. 오답입니다. 도로교통법 제32조 제8호에 따라 어린이 보호구역 내 주·정차는 원칙적으로 금지됩니다. 불법 주·정차 차량은 운전자의 시야를 가려 갑자기 나타나는 어린이를 발견하기 어렵게 만들기 때문에 사고의 주된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차량이 없더라도 정차해서는 안 됩니다. |
2. 어린이 보호구역이라도 어린이가 없을 경우에는 최고 제한속도를 준수하지 않아도 된다. 오답입니다. 어린이 보호구역의 제한속도는 어린이의 유무와 관계없이 지정된 시간(통상 오전 8시~오후 8시) 동안 항상 준수해야 합니다. 어린이는 예측 불가능한 행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어린이가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속도를 높이는 것은 매우 위험한 행동입니다. |
3. 안전표지가 표시하는 최고 제한속도를 준수하며 진행한다. 정답입니다. 어린이 보호구역에서는 도로교통법 제12조에 따라 시속 30km 이내로 속도를 제한하고 있습니다. 안전표지에 표시된 제한속도를 준수하는 것은 운전자의 법적 의무이며, 어린이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가장 중요한 규칙입니다. 위반 시 가중처벌 대상이 됩니다. |
4. 어린이가 갑자기 나올 수 있으므로 주위를 잘 살피며 진행한다. 정답입니다. 어린이 보호구역에서는 항상 어린이가 갑자기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48조 제1항에 명시된 운전자의 안전운전 의무에 해당하며, 서행하면서 주위를 철저히 살피는 것은 어린이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가장 기본적인 운전 방법입니다. |
5. 어린이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구간은 최대한 속도를 내어 신속하게 통과한다. 오답입니다. 어린이 보호구역은 어린이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확보하기 위해 지정된 공간으로, 서행하며 최대한의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속도를 내어 신속하게 통과하려는 행동은 대형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매우 위험하고 잘못된 운전 습관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