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린이 보호구역 내이므로 최고 제한속도를 준수하고, 어린이의 움직임에 주의하면서 전방을 잘 살펴야 한다. 어린이 보호구역내 사고는 안전운전 불이행, 보행자 보호의무위반, 불법 주・정차, 신호위반 등 법규를 지키지 않는 것이 원인이다. 그리고 보행자가 횡단할 때에는 반드시 일시정지한 후 보행자의 횡단이 끝나면 안전을 확인하고 통과하여야 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어린이 보호구역은 교통사고 위험으로부터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해 지정된 구역입니다. 따라서 운전자는 어린이 보호구역에서는 어린이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눈이 오는 등 악천후 시에는 더욱 감속하며 주변을 철저히 살펴야 합니다.
설명 |
---|
1. You can park in a school zone. 어린이 보호구역 내 모든 도로는 원칙적으로 주정차가 전면 금지됩니다. 이는 불법 주정차 차량이 운전자와 어린이의 시야를 가려 발생하는 사고를 막기 위함입니다. (도로교통법 제32조 제8호) |
2. If there are fences installed in a school zone, you don't have to pay attention as children cannot enter the driveway. 울타리가 있더라도 어린이는 언제든 예측하지 못한 행동을 할 수 있습니다. 울타리를 넘거나, 열린 문으로 갑자기 튀어나올 수 있으므로 운전자는 항상 어린이가 나타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서행해야 합니다. |
3. School zones can be designated to protect children from the dangers of traffic accidents. 옳은 설명입니다. 도로교통법 제12조에 따라 시장 등은 교통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어린이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하는 경우, 유치원, 초등학교 등의 주변도로를 어린이 보호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
4. Observe the speed limit and drive with caution to ensure the safety of children as there is snow on the road. 옳은 설명입니다. 어린이 보호구역에서는 규정 속도를 준수하는 것은 물론, 눈이 쌓인 경우 제동 거리가 길어지므로 평소보다 속도를 더욱 줄여야 합니다. 어린이의 돌발 행동에 대비해 항상 방어운전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
5. There is no risk of accidents because children are cautious in school zones. 어린이는 교통 상황 판단 능력이 미숙하고 돌발 행동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운전자는 '어린이들이 알아서 피하겠지'라고 생각해서는 안 되며, 모든 사고 예방의 책임은 운전자에게 있음을 명심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