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으로 할인 받고
운전학원 예약해보세요!
QR 코드 이미지
앱스토어 이미지플레이스토어 이미지
운전선생 로고지금 바로
예약 가능한 학원을 찾아보세요!
돈 이미지더이상 직접 가서 예약하지 마세요!
돈 이미지운전학원 최저가로 예약하세요!
다음 상황에서 가장 안전한 운전방법 2가지는?
다음 상황에서 가장 안전한 운전방법 2가지는?
도로교통공단 공식 해설

공사중인 도로이므로 안전을 확인한 후 주의하면서 서행으로 진행하여야 한다. 또한 전·후방의 진행하는 차량들의 안전을 확인하며 진행한다. 길가장자리 구역선 중 흰색실선은 주정차가 허용되나 공사구간인 경우 주차는 금지되고 정차는 허용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도로 공사 구간과 같이 돌발 상황이 예상되는 곳에서는 감속하며 주변 상황을 종합적으로 살피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전방의 공사 표지판을 보고 속도를 줄이고, 동시에 후방 차량의 움직임에도 주의하며 안전하게 통과해야 합니다.

설명

1. 공사 중 안내표지판이 있으므로 속도를 줄이고 진행한다.

정답입니다. 도로 공사 현장은 작업자, 중장비, 노면 불량 등 다양한 위험 요소가 존재합니다.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 6]에 따른 '공사 중' 안내표지판은 운전자에게 전방의 위험을 알리는 신호이므로, 이에 따라 속도를 줄이고 주의를 기울여 운행하는 것은 가장 기본적인 안전 운전 방법입니다.

2. 전방에 중앙선을 넘은 차량에 경각심을 주기위해 속도를 높이고 상향등을 켜서 운전한다.

오답입니다. 전방 차량의 위험한 운전에 대응하기 위해 속도를 높이고 상향등을 켜는 것은 보복 운전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오히려 더 큰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행위입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48조(안전운전 의무)에 위배되며, 마주 오는 차에게 상향등을 사용하는 것은 도로교통법 시행령 제20조(등화의 조작) 위반입니다.

3. 비상점멸등을 켜고 속도를 높여 빠르게 진행한다.

오답입니다. 비상점멸등은 긴급상황이나 갑작스러운 정차 시 후방 차량에 위험을 알리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공사 구간을 빠르게 통과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 올바른 용법이 아니며, 특히 속도를 높이는 행위는 사고 위험을 크게 증가시킵니다. 위험 구간에서는 반드시 속도를 줄여야 합니다.

4. 사고 방지를 위해 후방에서 진행하는 차량을 주의하며 속도를 줄이고 진행한다.

정답입니다. 전방의 위험 요소로 인해 속도를 줄일 때는 후방 차량이 내 차의 감속을 인지하지 못하고 추돌할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한 감속을 위해서는 항상 후사경(룸미러, 사이드미러)을 통해 후방 차량의 위치와 속도를 확인하며 안전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48조(안전운전 의무)에서 규정한 포괄적인 안전운전의 일부입니다.

5. 우측 길가장자리 구역선은 정차가 허용되지 않는 장소이다.

오답입니다.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 6]에 따르면 길가장자리에 설치된 백색 실선은 주차와 정차가 모두 허용되는 구간임을 의미합니다. 문제의 상황은 도로 공사 구간이라는 특수성이 있지만, 백색 길가장자리 구역선 자체의 의미가 '정차 금지'인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틀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