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당한 사유 없이 계속하여 경음기를 울리는 행위는 지양해야 하고, 진로 변경 시 방향 지시등을 켜고 전후방 차량의 안전을 확인 후 진행해야 하며, 시야확보가 되지 않는 경우 보행자의 안전에 유의하여야 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정차한 버스를 만났을 때는 1차로의 안전을 확인 후 차로를 변경하거나, 안전하지 않다면 무리하지 않고 기다리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특히 정차한 버스 앞으로 보행자가 갑자기 나타날 수 있는 위험에 항상 대비해야 합니다.
설명 |
---|
1. 버스 후방에서 경음기를 계속 울려 진행을 재촉한다. 정당한 사유 없이 경음기를 반복 사용하는 것은 도로교통법 제49조제1항제8호에서 금지하는 소음 발생 행위에 해당하며, 다른 운전자에게 위협을 줄 수 있는 위험한 행동입니다. 경음기는 위험 방지를 위해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해야 합니다. |
2. 주위 상황을 확인 후 1차로로 차로변경 한다. 정답입니다. 전방 버스가 정차하여 진행이 어려울 때, 가장 기본적인 안전 조치는 주변 교통 상황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방향지시등을 켜고, 1차로의 후방과 사각지대를 확인한 후 안전이 확보되면 차로를 변경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입니다. |
3. 비상점멸등을 켜고 속도를 높여 1차로로 차로변경 한다. 비상점멸등은 긴급상황이나 악천후 등 법령이 정한 특정 상황에 사용하며, 일반적인 차로 변경 시에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다른 운전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으며, 속도를 높여 변경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행동입니다. |
4. 1차로로 차로변경 하려는 경우 버스 앞에서 나타나는 보행자는 주의할 필요가 없다. 매우 위험한 생각입니다. 정차한 버스는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는 큰 장애물입니다. 버스 앞으로 어린이나 보행자가 갑자기 뛰어나올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이를 '보행자 튀어나옴' 위험으로 인지하고 항상 대비하며 운전해야 합니다. |
5. 1차로 후방에 차량이 있으면 무리해서 차로변경하지 않고 버스 뒤에 대기한다. 정답입니다. 차로 변경은 1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통행에 방해를 주지 않는 선에서만 가능합니다. 후방 차량이 있는데 무리하게 끼어드는 것은 도로교통법 제19조제3항의 진로 변경 시 안전 확보 의무 위반이며, 사고 발생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