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R방식(Rear engine Rear wheel drive)의 뒷바퀴 굴림방식의 차량은 엔진이 뒤에 있고, 뒷바퀴 굴림방식이기 때문에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체의 뒷부분을 들어 올려 견인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RR(후륜구동) 차량은 뒷바퀴가 동력을 전달하므로, 견인 시 변속기 등 구동계 손상을 막기 위해 뒷부분을 들어 올려야 합니다. 구동축 손상을 막기 위해 구동 바퀴는 지면에 닿지 않게 견인하는 것이 차량 구난의 기본 원칙입니다.
설명 |
---|
1. 차체의 앞부분을 들어 올려 견인한다. 오답입니다. RR 방식 차량의 구동 바퀴는 뒷바퀴입니다. 앞부분을 들어 올리면 구동 바퀴인 뒷바퀴가 지면에 닿은 채 끌려가게 되어, 엔진이 꺼진 상태에서 변속기와 관련 부품들이 강제로 회전하면서 심각한 고장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2. 차체의 뒷부분을 들어 올려 견인한다. 정답입니다. RR 방식(Rear engine Rear wheel drive)은 엔진이 뒤에 있고 뒷바퀴가 구동하는 방식입니다. 구동 바퀴인 뒷바퀴를 들어 올려 견인하면, 변속기를 포함한 동력 전달 장치에 무리가 가지 않아 안전하게 견인할 수 있습니다. |
3. 앞과 뒷부분 어느 쪽이든 관계없다. 오답입니다. 자동차의 구동 방식에 따라 견인 방법은 명확히 구분됩니다. RR 방식은 뒷바퀴 굴림이므로 반드시 뒷부분을 들어야 구동 계통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구동 방식을 무시하고 견인하면 차량에 큰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관계없이 견인해서는 안 됩니다. |
4. 반드시 차체 전체를 들어 올려 견인한다. 가장 적절한 방법은 아닙니다. 차체 전체를 들어 올리는 방식(플랫베드 견인)은 모든 차량에 가장 안전하지만, RR 차량의 경우 구동륜인 뒷바퀴만 들어 올리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안전하게 견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전체를 들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