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제66조 같은법 시행규칙 [별표24] 기능시험 채점기준ㆍ합격기준 소형견인차면허의 기능시험은 굴절코스, 곡선코스, 방향전환코스를 통과해야하며, 각 코스마다 3분 초과 시, 검지선 접촉 시, 방향전환코스의 확인선 미접촉 시 각 10점이 감점된다. 합격기준은 90점 이상이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교통사고 현장에서 응급조치를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부상자의 생명을 구하고 상태 악화를 막기 위함입니다. 응급조치의 최우선 목표는 부상자의 생명을 구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재산 보호는 인명 구조라는 응급조치의 본질적인 목적과 가장 거리가 멉니다.
설명 |
|---|
1. 부상자의 빠른 호송을 위하여 오답입니다. 부상자에게 적절한 응급조치를 하면 출혈을 막고 쇼크를 예방하는 등 상태가 안정되어 병원으로 더 빠르고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습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54조(사고발생 시의 조치)에서 규정한 사상자 구호 의무의 중요한 부분으로, 부상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데 직접적인 도움이 됩니다. |
2. 부상자의 고통을 줄여주기 위하여 오답입니다. 응급조치는 부상 부위를 고정하거나 지혈하는 등 직접적인 조치를 통해 부상자의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줄여주는 인도주의적 목적을 가집니다. 또한, 고통 감소는 쇼크를 방지하여 부상자의 상태가 악화되는 것을 막는 중요한 의료 행위이기도 합니다. |
3. 부상자의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정답입니다. 응급조치는 사람의 생명과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의료 행위입니다. 교통사고 현장에서 부상자의 재산을 보호하는 것도 필요할 수 있으나, 이는 인명 구조라는 응급조치의 최우선적인 목적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구호 조치의 핵심은 인명 구조에 있습니다. |
4. 부상자의 구명률을 높이기 위하여 오답입니다. 이것이 응급조치의 가장 핵심적인 이유입니다. 심정지나 과다출혈 등 위급 상황에서 '골든타임' 내에 실시하는 심폐소생술이나 지혈 같은 응급조치는 부상자의 생존율, 즉 구명률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습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54조의 구호 조치 의무의 근본적인 목적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