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상자가 의식이 없으면 가슴압박을 실시하며, 심한 출혈의 경우 출혈 부위를 심장 위쪽으로 둔다.골절환자는 손상된 부위를 잘 관찰하여 옷을 느슨하게 해주어 숨을 편히 쉴 수 있도록 하고 주변관절이 움직이지않도록 안정시켜 추가적인 손상을 막을 수 있도록 하고, 지혈 후 마지막으로 부목과 천붕대등을 이용하여 골절부위를 고정시킨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교통사고 현장에서 부상자 발견 시, 가장 먼저 부상자의 의식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식 여부에 따라 119 신고, 응급처치 등 후속 조치가 결정되므로, 섣부른 처치보다 정확한 상태 파악이 우선되어야 합니다.
설명 |
---|
1. 말을 걸어보거나 어깨를 두드려 부상자의 의식 상태를 확인한다. 사고 현장에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부상자의 반응을 살피는 것입니다. 말을 걸거나 가볍게 어깨를 두드려 의식 여부를 확인해야, 다음에 어떤 조치를 취할지 (119 신고, 기도 확보 등)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모든 응급처치의 기본 원칙입니다. |
2. 부상자가 의식이 없으면 인공호흡을 실시한다. 의식이 없다고 해서 무조건 인공호흡을 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최신 응급처치 지침은 가슴 압박을 우선하며, 인공호흡 전에는 반드시 호흡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섣부른 인공호흡은 오히려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3. 골절 부상자는 즉시 부목을 대고 구급차가 올 때까지 기다린다. 골절이 의심되더라도, 의식 확인, 119 신고, 심한 출혈 처치 등 더 위급한 상황을 먼저 해결해야 합니다. 또한, 비전문가가 부목을 잘못 사용하면 신경이나 혈관 손상 등 2차 부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함부로 시도해서는 안 됩니다. |
4. 심한 출혈의 경우 출혈 부위를 심장 아래쪽으로 둔다. 심한 출혈 시에는 출혈 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들어 올려야 합니다. 중력을 이용해 출혈 부위로 가는 혈액의 양을 줄여 지혈을 돕기 위함입니다. 출혈 부위를 심장 아래로 두면 오히려 출혈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