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F방식(Front engine Front wheel drive)의 앞바퀴 굴림방식의 차량은 엔진이 앞에 있고, 앞바퀴 굴림방식이기 때문에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체의 앞부분을 들어 올려 견인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FF(전륜구동) 차량은 앞바퀴가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바퀴이므로, 견인 시 변속기 등 구동계 손상을 막기 위해 앞바퀴를 들어 올려 견인해야 합니다. 이는 차량의 구동 방식을 이해하고 올바르게 구난하는 안전의 기본입니다.
설명 |
---|
1. 차체의 앞부분을 들어 올려 견인한다. FF(Front engine Front wheel drive) 방식, 즉 전륜구동 차량은 엔진의 동력이 앞바퀴로 전달됩니다. 이 앞바퀴(구동바퀴)가 지면에 닿은 채로 견인되면 변속기 등 구동계에 심각한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차체 앞부분을 들어 올려 견인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고 안전한 방법입니다. |
2. 차체의 뒷부분을 들어 올려 견인한다. 차체 뒷부분을 들어 올리는 방식은 뒷바퀴가 구동바퀴인 후륜구동(FR, RR) 차량에 적용하는 방법입니다. FF(전륜구동) 차량을 이렇게 견인하면 구동바퀴인 앞바퀴가 지면에 끌려가게 되어 변속기에 치명적인 고장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잘못된 방법입니다. |
3. 앞과 뒷부분 어느 쪽이든 관계없다. 차량 구난 시 견인 방법은 구동 방식에 따라 명확히 구분됩니다. 구동축과 연결된 바퀴를 지면에 닿은 채로 견인하면 차량에 심각한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구동 방식을 반드시 확인하고 그에 맞는 적절한 구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따라서 관계없다는 설명은 틀립니다. |
4. 반드시 차체 전체를 들어 올려 견인한다. 차체 전체를 들어 올리는 방식(어부바차)은 사륜구동(4WD/AWD) 차량이나 차체 손상이 심한 경우에 주로 사용되는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FF 차량 고장 시에는 앞부분만 들어 올려 견인하는 것도 표준적인 방법이므로 '반드시' 전체를 들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