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난차(레커) 운전자는 사고처리 행정업무를 수행할 권한이 없어 사고현장을 보존해야 한다.
다만, 부상자의 구호 및 2차 사고를 대비 주변 상황에 맞는 안전조치를 취할 수 있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교통사고 현장에서 구난차 운전자의 최우선 임무는 부상자 구호와 2차 사고 예방입니다. 사고 차량 견인이나 비용 협상 등은 경찰의 현장 조사와 부상자 구호 조치가 끝난 후에 이루어져야 할 부차적인 문제입니다. 운전자와 주변의 안전 확보가 가장 중요합니다.
설명 |
---|
1. 사고차량 운전자의 운전면허증을 회수한다. 오답입니다. 운전면허증을 회수하는 것은 경찰공무원의 고유 권한입니다. 구난차 운전자는 사법권이 없는 민간인 신분이므로, 사고 운전자의 신분증이나 면허증을 요구하거나 회수할 수 없습니다. 이는 월권 행위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
2. 도착 즉시 사고차량을 견인하여 정비소로 이동시킨다. 오답입니다. 경찰의 사고 조사가 완료되기 전에 사고 차량을 임의로 견인하는 것은 현장을 훼손하는 행위입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54조에 명시된 사고 현장 보존 의무에 위배될 수 있으며, 정확한 사고 원인 규명을 방해하여 보험 처리 등에서 불이익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3. 운전자와 사고차량의 수리비용을 흥정한다. 오답입니다. 사고 직후 경황이 없는 운전자에게 수리 비용을 흥정하는 것은 비윤리적이며 부적절한 행동입니다. 구호 조치와 2차 사고 예방이 최우선이며, 수리 관련 사항은 운전자가 정신적으로 안정을 찾은 후 보험사를 통해 처리하는 것이 올바른 절차입니다. |
4. 운전자의 부상 정도를 확인하고 2차 사고에 대비 안전조치를 한다. 정답입니다. 도로교통법 제54조(사고발생 시의 조치)는 사고 발생 시 가장 먼저 사상자를 구호하고 추가적인 교통상의 위험을 방지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구난차 운전자는 이 법의 취지에 따라, 인명 구조를 최우선으로 하고 안전표지 설치 등 2차 사고 예방 조치를 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