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차체가 무거우면 제동거리가 길어진다. ② 차체가 길기 때문에 전도나 전복의 위험성이 높고 급 차로변경 시잭 나이프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잭나이프현상 - 트레일러 앞부분이 급 차로변경을 해도 뒤에 연결된 컨테이너가 차로 변경한 방향으로 가지 않고 진행하던 방향 그대로 튀어나가는 현상) ③ 트레일러는 운전석이 높아서 앞 차량이 실제 차간거리보다 멀어보여 안전거리를 확보하지 않는 경향 (운전자는 안전거리가 확보되었다고 착각함)이 있다. ④ 차체가 길고 크므로 내륜차가 크게 발생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트레일러는 차체가 길고 무거워 급격한 조작 시 위험성이 큽니다. 특히 급차로변경 시 전복 위험성이 매우 높으므로, 일반 승용차와 다른 주행 특성을 반드시 이해하고 안전하게 운전해야 합니다.
설명 |
---|
1. 차체가 무거워서 제동거리가 일반승용차보다 짧다. 오답입니다. 차체가 무거울수록 관성의 법칙에 따라 제동에 필요한 힘과 거리가 늘어납니다. 따라서 트레일러는 일반 승용차보다 제동거리가 훨씬 길어지므로, 충분한 안전거리 확보가 필수적입니다. |
2. 급 차로변경을 할 때 전도나 전복의 위험성이 높다. 정답입니다. 트레일러는 차체가 길고 무게중심이 높아 급차로변경이나 급커브 시 원심력을 이기지 못하고 전도되거나 전복될 위험이 큽니다. '잭나이프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어 매우 위험합니다. |
3. 운전석이 높아서 앞 차량이 실제보다 가까워 보인다. 오답입니다. 트레일러는 운전석이 높아 시야가 넓지만, 이로 인해 앞 차량과의 실제 거리보다 더 멀리 있는 것처럼 보이는 착시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 때문에 안전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
4. 차체가 크기 때문에 내륜차(內輪差)는 크게 관계가 없다. 오답입니다. 내륜차(內輪差)는 차량이 회전할 때 앞바퀴와 뒷바퀴의 궤적 차이를 의미하며, 차체가 길수록 크게 발생합니다. 이 때문에 트레일러는 회전 시 일반 승용차보다 훨씬 넓은 공간이 필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