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풀트레일러-자동차 및 적재물 중량의 대부분을 해당 자동차의 차축으로 지지하는 구조의 피견인자동차 ② 세미트레일러-그 일부가 견인자동차의 상부에 실리고, 해당 자동차 및 적재물 중량의 상당 부분을 견인자동차에 분담시키는 구조의 피견인자동차 ③ 저상 트레일러-중량물의 운송에 적합하고 세미트레일러의 구조를 갖춘 것으로서, 대부분의 상면지상고가 1,100밀리미터 이하이며 견인자동차의 커플러 상부높이보다 낮게 제작된 피견인자동차④ 센터차축트레일러-균등하게 적재한 상태에서의 무게중심이 차량축 중심의 앞쪽에 있고, 견인자동차와의 연결장치가 수직방향으로 굴절되지 아니하며, 차량총중량의 10퍼센트 또는 1천 킬로그램보다 작은 하중을 견인자동차에 분담시키는 구조로서 1개 이상의 축을 가진 피견인자동차
운전선생 자체해설
이 문제는 여러 트레일러(피견인자동차) 종류의 구조적 차이를 묻고 있습니다. 세미트레일러는 차체 일부가 견인차에 실리고 중량의 상당 부분을 견인자동차에 분담시키는 구조를 가진 것이 특징으로, 이는 다른 트레일러와의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설명 |
|---|
1. 풀트레일러 풀트레일러는 트레일러 자체의 바퀴(차축)만으로 거의 모든 무게를 지탱하며, 견인차는 끄는 역할만 합니다. 문제에서 설명하는 '중량을 분담시키는 구조'와는 명확히 다르므로 오답입니다. |
2. 세미트레일러 정답입니다. 세미트레일러는 문제의 설명처럼 차체 일부가 견인차 위에 얹혀 무게의 상당 부분을 견인차에 분담시키는 구조입니다. 이는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1]에 따른 정의로, 컨테이너 운반 트럭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
3. 저상트레일러 저상트레일러는 세미트레일러의 한 종류로, 이름처럼 짐 싣는 바닥(상면)이 매우 낮은 것이 특징입니다. 주로 굴착기 같은 중장비를 운반하는 데 사용됩니다. 문제의 정의는 특정 용도가 아닌 일반적인 구조적 특징을 묻고 있으므로 오답입니다. |
4. 센터차축트레일러 센터차축트레일러는 중앙 부분에 바퀴 축이 집중된 형태로, 견인차에 무게를 거의 분담시키지 않거나(총중량의 10% 또는 1톤 미만) 수직으로 꺾이지 않는 연결장치를 사용합니다. 문제의 '중량의 상당 부분'이라는 설명과 다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