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으로 할인 받고
운전학원 예약해보세요!

QR 코드 이미지
앱스토어 이미지플레이스토어 이미지
운전선생 로고

지금 바로
예약 가능한 학원을 찾아보세요!

돈 이미지

더이상 직접 가서 예약하지 마세요!

돈 이미지

운전학원 최저가로 예약하세요!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상 트레일러의 차량중량이란?

    운전선생 자체해설

    '차량중량'은 자동차에 사람이 타지 않고 어떠한 짐도 싣지 않은 '공차상태'의 무게를 의미합니다. 이는 화물이나 승객을 포함한 '차량총중량'과는 다른 개념으로, 자동차의 순수한 기본 무게를 뜻하는 중요한 용어입니다.

    설명

    1. 공차상태의 자동차의 중량을 말한다.

    정답입니다.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 제2조(정의)에 따르면 '차량중량'은 자동차에 사람이 승차하지 않고 물품을 적재하지 않은 상태, 즉 공차상태의 자동차 중량을 말합니다. 이는 트레일러의 최대 적재량을 계산하는 기본이 됩니다.

    2. 적차상태의 자동차의 중량을 말한다.

    오답입니다. 적차상태(사람이 타고 화물을 실은 상태)의 자동차 중량은 '차량총중량'이라고 합니다. 차량중량과 차량총중량은 명확히 구분되는 용어이므로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차량총중량은 도로 및 교량의 허용 하중과 관련이 깊습니다.

    3. 공차상태의 자동차의 축중을 말한다.

    오답입니다. '축중'이란 자동차의 바퀴 한 축에 걸리는 무게를 의미하며, 자동차 전체의 무게를 뜻하는 '중량'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공차상태의 축중은 빈 차일 때의 차축 하중을 말하며, 이는 차량중량의 정의가 아닙니다.

    4. 적차상태의 자동차의 축중을 말한다.

    오답입니다. 적차상태의 축중은 화물과 승객을 모두 태운 상태에서 각 차축에 가해지는 무게를 의미합니다. 이는 도로 파손 방지를 위한 과적 단속 등에서 중요한 기준이 되지만, 차량 자체의 기본 무게를 뜻하는 '차량중량'과는 관련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