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일러는 좌회전 시 승용차와 비슷한 회전각을 유지하게 되면 뒷바퀴에 의한 좌회전 대기차량을 충격하게 되므로 승용차보다 넓게 회전하여야 하며 내리막길에서 기어를 중립에 두는 경우 대형사고의 원인이 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트레일러는 축간 거리(앞바퀴와 뒷바퀴 사이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 회전 시 앞바퀴와 뒷바퀴의 궤적 차이인 내륜차가 승용차보다 훨씬 큽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해하고 회전 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은 대형차량 운전의 기본이자 주변 차량의 안전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설명 |
---|
1. 좌회전 시 승용차와 비슷한 회전각을 유지한다. 트레일러는 축간 거리가 길어 내륜차가 매우 크므로, 승용차와 비슷하게 회전하면 뒷부분이 회전 반경 안쪽의 장애물이나 다른 차량과 충돌할 위험이 높습니다. 따라서 항상 승용차보다 넓게 회전해야 합니다. |
2. 내리막길에서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기어를 중립에 둔다. 내리막길에서 기어를 중립에 두면 엔진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아 브레이크 과열 및 파손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대형 사고의 원인이 되므로 절대 금지되는 위험한 운전 습관입니다. |
3. 승용차에 비해 내륜차(內輪差)가 크다. 정답입니다. 내륜차는 회전 시 앞바퀴와 뒷바퀴의 회전 궤적 차이를 의미합니다. 트레일러는 승용차보다 축간 거리가 훨씬 길기 때문에 내륜차가 커져, 회전 시 더 넓은 공간이 필요하게 됩니다. |
4. 승용차에 비해 축간 거리가 짧다. 축간 거리는 차량의 앞바퀴 축과 뒷바퀴 축 사이의 거리입니다. 트레일러는 전체 길이가 긴 대형 차량이므로, 승용차에 비해 축간 거리가 훨씬 깁니다. 이 긴 축간 거리가 큰 내륜차의 직접적인 원인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