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교통법시행규칙 별표 18.
① 소형견인차 면허는 총중량 3.5톤의 견인형 특수자동차를 운전할 수 있다.
② 소형견인차 면허는 적재중량 4톤의 화물자동차를 운전할 수 있다.
③ 구난차 면허는 승차정원 10명 이하의 승합자동차를 운전할 수 있다.
④ 대형 견인차 면허는 적재중량 4톤의 화물자동차를 운전할 수 있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이 문제는 제1종 특수면허로 운전할 수 있는 차량의 범위를 정확히 알고 있는지를 평가합니다. 정답은 2번으로, 소형견인차 면허를 취득하면 제2종 보통면허로 운전할 수 있는 차량도 운전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제2종 보통면허는 적재중량 4톤 이하의 화물자동차를 포함하므로, 소형견인차 면허로도 운전할 수 있습니다. 면허의 종류별 운전 가능 차량 범위를 정확히 아는 것이 핵심입니다.
설명 |
---|
1. Với Giấy phép lái xe kéo cỡ nhỏ, có thể điều khiển xe chuyên dụng kiểu xe kéo có tải trọng 3,5 tấn. 소형견인차 면허로 운전할 수 있는 견인형 특수자동차의 기준은 '적재중량'이 아닌 '총중량' 3.5톤 이하입니다.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 18]에 따르면, 소형견인차는 총중량 3.5톤 이하의 견인형 특수자동차를 운전할 수 있습니다. '총중량'은 차량 자체 무게와 최대로 실을 수 있는 무게를 합한 것으로, 안전 운행의 중요한 기준이므로 용어를 명확히 구분해야 합니다. |
2. Với Giấy phép lái xe kéo cỡ nhỏ, có thể điều khiển xe tải chở hàng có tải trọng 4 tấn. 이 설명은 옳습니다.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 18]에 따라 제1종 특수면허(소형견인차)를 취득하면, 제2종 보통면허로 운전할 수 있는 차량도 운전이 가능합니다. 제2종 보통면허의 운전 가능 범위에는 '적재중량 4톤 이하의 화물자동차'가 포함되므로, 소형견인차 면허 소지자는 4톤 화물자동차를 운전할 수 있습니다. |
3. Với Giấy phép lái xe cứu hộ, có thể điều khiển xe khách 12 chỗ. 구난차 면허는 제1종 특수면허로, 제2종 보통면허로 운전 가능한 차량을 포함합니다.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 18]에 따르면 제2종 보통면허는 승차정원 '10명 이하'의 승합자동차를 운전할 수 있습니다. 승차정원 12명의 승합자동차는 제1종 보통면허가 필요하므로, 구난차 면허만으로는 운전할 수 없습니다. |
4. Với Giấy phép lái xe kéo cỡ lớn, có thể điều khiển xe tải có tải trọng 10 tấn. 대형견인차 면허 또한 제1종 특수면허이므로 제2종 보통면허의 운전 범위를 포함합니다. 따라서 적재중량 4톤 이하의 화물자동차까지만 운전할 수 있습니다. 적재중량 10톤의 화물자동차는 제1종 보통면허가 필요하며, 대형견인차 면허만으로는 단독으로 운전할 수 없습니다. 각 면허는 고유의 운전 가능 차량 범위가 정해져 있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