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닥이 낮고 출입구에 계단이 없는 버스이다.
기존 버스의 계단을 오르내리기 힘든 교통약자들, 특히 장애인들의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저상버스는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를 위해 차체 바닥을 낮추고 경사판을 설치한 버스입니다. 차체의 전체 높이가 일반버스의 절반(1/2)이라는 설명은 과장된 표현으로 사실과 다르므로 정답입니다. 저상버스의 특징을 이해하는 것은 교통약자 배려 운전의 첫걸음입니다.
설명 |
---|
1. A low-floor bus can be boarded easily by the elderly or the disabled. 이는 저상버스의 핵심적인 도입 목적이자 가장 큰 특징입니다.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에 따라 휠체어 사용자, 노약자, 임산부 등 이동에 불편을 느끼는 모든 사람이 버스를 쉽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따라서 맞는 설명입니다. |
2. The floor of a low-floor bus is lower than the floor on normal buses. 이는 '저상(低床)'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는 저상버스의 기본적인 구조적 특징입니다. 일반 버스와 달리 출입구 계단을 없애고 바닥 높이를 낮춤으로써, 버스 정류장 연석과의 높이 차이를 최소화하여 승객의 안전한 승하차를 돕습니다. 따라서 맞는 설명입니다. |
3. A ramp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and exit instead of stairs. 이는 저상버스가 교통약자의 이동권을 보장하는 중요한 기능입니다. 출입구 계단 대신 전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하는 경사판(슬라이드)이 설치되어 있어, 휠체어나 유모차 이용자가 안전하게 버스에 오르내릴 수 있도록 돕습니다. 따라서 맞는 설명입니다. |
4. The height of a low-floor bus is half that of normal buses. 이것이 가장 거리가 먼 설명입니다. 저상버스는 승객의 승하차 편의를 위해 차체 '바닥'의 높이를 낮춘 것이지, 버스 전체의 높이를 절반으로 줄인 것은 아닙니다. 만약 차체 높이가 절반이라면 승객이 서서 탑승할 수 없으므로, 사실과 명백히 다른 설명입니다. 따라서 정답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