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31에 따라 수소대형승합자동차(승차정원 36인승 이상)를 신규로 운전하려는운전자는 특별교육을 이수하여야 하나 그 외 운전자는 교육대상에서 제외된다. ② 수소자동차는 용기에 저장된 수소와 산소의 화학반응으로 생성된 전기로 모터를 구동하여 자동차를 움직이는 방식으로 수소를 연소시키지 않음 ③ 수소자동차에는 화재 등의 이유로 온도가 상승할 경우 용기 등의 폭발방지를 위한 안전밸브가 되어 있어 긴급상황 발생 시 안전밸브가개방되어 수소가 외부로 방출되어 폭발을 방지한다. ④ 교통안전법 제7조에 따라 차량을 운전하는 자 등은 법령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차량이 안전운행에 지장이 없는지를 점검하고 안전하게 운전하여야 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모든 운전자는 차종과 관계없이 안전운행을 위해 차량을 점검하고 안전하게 운전할 의무가 있습니다. 수소자동차 운전자 역시 도로교통법에 따라 안전운전 의무를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다른 선택지는 수소차에 대한 잘못된 정보입니다.
설명 |
---|
1. 수소는 가연성 가스이므로 모든 수소자동차 운전자는 고압가스 안전관리법령에 따라 운전자 특별교육을 이수하여야 한다. 이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에 따르면, 모든 수소차 운전자가 아닌 승차정원 36인 이상의 수소 대형승합자동차를 운전하려는 사람 등 일부 운전자만 특별교육 이수 대상입니다. 일반 수소 승용차 운전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
2. 수소자동차는 수소를 연소시키기 때문에 환경오염이 유발된다. 이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수소자동차는 수소와 산소의 화학반응으로 전기를 만들어 모터를 구동하는 '연료전지' 방식을 사용합니다. 수소를 직접 연소시키지 않으며, 배출가스로 순수한 물(H₂O)만 나오기 때문에 대표적인 친환경 자동차입니다. |
3. 수소자동차에는 화재 등 긴급상황 발생 시 폭발방지를 위한 별도의 안전장치가 없다. 이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수소자동차는 국제적으로 검증된 엄격한 안전 기준에 따라 제작됩니다. 특히 수소 저장 용기는 화재나 고온에 노출될 경우, 내장된 안전밸브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수소를 안전하게 외부로 방출시켜 폭발을 방지합니다. |
4. 수소자동차 운전자는 해당 차량이 안전운행에 지장이 없는지 점검하고 안전하게 운전하여야 한다. 이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도로교통법」 제48조(안전운전 및 친환경 경제운전의 의무) 제1항은 모든 차의 운전자는 차량의 조향장치, 제동장치, 그 밖의 장치를 정확하게 조작하고 안전하게 운전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규정합니다. 이는 수소차를 포함한 모든 운전자에게 적용되는 기본 원칙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