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행 중에 가속 페달에서 발을 떼거나 저단으로 기어를 변속하여 차량의 속도를 줄이는 운전 방법은?
엔진브레이크 사용에 대한 설명이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주행 중 가속 페달을 떼거나 저단 기어로 변속하여 엔진의 저항으로 차량을 감속시키는 방법을 엔진 브레이크라고 합니다. 특히 긴 내리막길에서 풋 브레이크의 과열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제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 안전 운전 기술입니다.
설명 |
|---|
1. 기어 중립 주행 중 기어를 중립(N)에 두면 엔진 동력이 바퀴에 전달되지 않아 타력으로만 주행하게 됩니다. 이 상태에서는 엔진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으며, 특히 내리막길에서는 차량이 가속되어 제동 장치에 과부하를 줄 수 있어 매우 위험합니다. |
2. 풋 브레이크 풋 브레이크는 발로 페달을 밟아 유압을 통해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주된 제동 장치입니다. 문제에서 설명하는 가속 페달 조작이나 기어 변속을 통해 엔진의 저항을 이용하는 감속 방식과는 원리가 다릅니다. |
3. 주차 브레이크 주차 브레이크는 주로 차량을 주차할 때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주행 중 감속을 위해 사용하면 뒷바퀴가 잠겨 차량이 균형을 잃고 미끄러질 수 있어 비상 상황이 아니면 절대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도로교통법 시행령 제11조 제3항에서도 경사지 주차 시의 조치로 명시하고 있습니다. |
4. 엔진 브레이크 엔진 브레이크는 가속 페달에서 발을 떼거나 기어를 저단으로 변속하여 엔진 내부의 저항력으로 차량 속도를 줄이는 방법입니다. 긴 내리막길 등에서 풋 브레이크의 잦은 사용으로 인한 과열(페이드 현상) 및 제동력 저하를 방지하는 매우 중요한 안전 운전 기술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