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로 척추골절이 예상되는 환자가 있는 경우 긴급한 경우가 아니면 이송을 해서는 안 된다.
이송 전에 적절한 처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돌이킬 수 없는 신경학적 손상을 악화시킬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2차 사고위험 등을 방지하기 위해 부득이 이송해야 한다면 부목을 이용해서 척추부분을 고정한 후 안전한 곳으로 우선 대피해야 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교통사고 시 척추 부상이 의심되는 환자는 2차 손상 방지를 위해 함부로 옮기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부득이하게 이동해야 할 경우, 반드시 척추를 고정한 후 최소한의 움직임으로 옮겨야 합니다.
설명 |
---|
1. Check if the person is conscious and perfor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mmediately. 심폐소생술은 심정지 상태의 환자에게 실시하는 응급처치입니다. 의식 확인만으로 즉시 시행하는 것은 올바른 절차가 아니며, 특히 척추 부상자에게는 목을 고정하는 등 전문적인 방법이 필요하여 위험합니다. |
2. Move the person to a safe place and call 119. 척추 골절이 의심되는 부상자를 부축하여 옮기는 행위는 매우 위험합니다. 이 과정에서 척수 신경이 손상되어 영구적인 하반신 마비 등 심각한 2차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절대 해서는 안 됩니다. |
3. Apply the Heimlich maneuver to prevent upper airway obstruction. 하임리히법은 음식물 등으로 인해 기도가 막혔을 때 사용하는 응급처치 방법입니다. 척추 골절 부상과는 전혀 관련이 없으므로 잘못된 조치입니다. |
4. Unless urgent, do not move the person. If moving is inevitable, use a spine splint and assist the person in moving to a safe place. 교통사고 현장에서 척추 손상이 의심되는 부상자는 함부로 움직이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2차 사고의 위험이 있어 불가피하게 이동해야 할 때에만, 척추를 부목 등으로 단단히 고정하여 움직임을 최소화한 후 이송해야 합니다. 이는 신경 손상을 막기 위한 가장 중요한 조치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