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으로 할인 받고
운전학원 예약해보세요!
QR 코드 이미지
앱스토어 이미지플레이스토어 이미지
운전선생 로고지금 바로
예약 가능한 학원을 찾아보세요!
돈 이미지더이상 직접 가서 예약하지 마세요!
돈 이미지운전학원 최저가로 예약하세요!
전방에 교통사고로 앞차가 급정지했을 때 추돌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가장 안전한 운전방법 2가지는?
도로교통공단 공식 해설

앞차와 정지거리 이상을 유지하고 앞차와 추돌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감속하며 안전거리를 확보한다. (도로교통 법 제19조)

운전선생 자체해설

돌발 상황에 대비한 추돌사고 예방의 핵심은 충분한 안전거리 확보와 즉각적인 감속입니다. 앞차와의 정지거리 이상을 유지하고, 위험 감지 시 즉시 감속하여 추돌을 피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설명

1. 앞차와 정지거리 이상을 유지하며 운전한다.

정답입니다. 도로교통법 제19조(안전거리 확보)에 따라 모든 차의 운전자는 앞차가 갑자기 정지하는 경우 추돌을 피할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해야 합니다. 이는 '정지거리' 이상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며, 방어운전의 기본입니다.

2. 비상점멸등을 켜고 긴급자동차를 따라서 주행한다.

오답입니다. 긴급자동차를 뒤따라 주행하는 것은 도로교통법 제29조(긴급자동차의 우선 통행) 위반입니다. 다른 차들은 긴급자동차에 진로를 양보해야 하며, 이를 따라가는 행위는 긴급 임무를 방해하고 사고 위험을 높입니다.

3. 앞차와 추돌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감속하며 안전거리를 확보한다.

정답입니다. 앞차의 급정지와 같은 위험을 발견했을 때 즉시 속도를 줄여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하는 것은 추돌을 방지하는 가장 기본적인 행동입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19조(안전거리 확보)의 의무를 이행하는 구체적인 방법입니다.

4. 위험이 발견되면 풋 브레이크와 주차 브레이크를 동시에 사용하여 제동거리를 줄인다.

오답입니다. 주행 중 주차 브레이크를 사용하면 뒷바퀴만 잠겨 차가 스핀하며 통제 불능에 빠질 수 있어 매우 위험합니다. 비상 제동 시에는 풋 브레이크만을 사용해야 합니다. 주차 브레이크는 주차 시에만 사용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