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기설비규정(KEC) 241.17.
전기자동차 전원설비, 접지극은 투입 시 제일 먼저 접속되고, 차단시 제일 나중에 분리되는 구조일 것.
운전선생 자체해설
전기차 충전 커플러의 안전 규정 중 '접지극은 투입 시 제일 먼저 접속되고, 차단 시 제일 나중에 분리'되어야 한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이는 충전 및 분리 시 발생할 수 있는 감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안전장치입니다. 2번 선택지는 이 순서를 반대로 설명하여 틀렸습니다.
설명 |
---|
1. It should have separate polarity and grounding electrode as it has a structure that cannot be replaced with other wiring equipment. 옳은 설명입니다. '공용충전기'는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휴게소, 대형마트, 공공기관 주차장 등 불특정 다수가 이용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시설을 통칭하는 용어입니다. 이는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한 필수적인 사회 기반 시설에 해당합니다. |
2. The grounding electrode should have a structure that is connected last when starting and separated first upon shutoff. 잘못된 설명으로, 문제의 정답입니다. 한국전기설비규정(KEC) 241.17.4의 2항에 따르면, 감전 보호를 위해 **접지극은 충전 케이블을 연결할 때 가장 먼저 접속되고, 분리할 때 가장 나중에 차단**되는 구조여야 합니다. 만약의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누설 전류를 가장 먼저 땅으로 흘려보내 인체를 보호하기 위함입니다. |
3. It should have a mechanical device for locking or attachment/detachment to prevent unintended load shedding. 옳은 설명입니다. 충전 중에 케이블이 실수로 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계적 잠금장치는 필수적입니다. 이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보장하고, 부하가 걸린 상태에서 커넥터가 분리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아크(전기 불꽃)와 같은 위험 상황을 예방하기 위한 중요한 안전 규정입니다. |
4. It should have an interlock function that suspends the power supply of charging cable when the connector of an EV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port. 옳은 설명입니다. 인터록(Interlock) 기능은 충전 커넥터가 차량에서 완전히 분리되기 전에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안전장치입니다. 이는 커넥터 분리 시 발생할 수 있는 전기 스파크(아크)나 감전 위험을 방지하는 매우 중요한 기능으로, 한국전기설비규정(KEC)에서 요구하는 필수 안전 요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