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기설비규정(KEC) 241.17 전기자동차 전원설비, 접지극은 투입 시 제일 먼저 접속되고, 차단 시 제일 나중에분리되는 구조일 것.
운전선생 자체해설
전기차 충전 시 감전 사고 예방을 위해 접지극은 안전상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접지극은 가장 먼저 접속되고, 가장 나중에 분리되어야 안전이 확보되므로, 반대로 설명한 2번이 틀린 설명입니다.
설명 |
---|
1. 다른 배선기구와 대체 불가능한 구조로서 극성이 구분되고 접지극이 있는 것일 것. 올바른 설명입니다. 전기차 충전 커플러는 전용으로 설계되어 다른 기구와 혼용할 수 없습니다. 이는 잘못된 연결로 인한 화재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극성 구분과 접지극은 감전 사고를 예방하는 필수적인 안전장치입니다. |
2. 접지극은 투입 시 제일 나중에 접속되고, 차단 시 제일 먼저 분리되는 구조일 것. 잘못된 설명으로, 이 문제의 정답입니다. 안전을 위해 접지극은 전기가 통하기 전 가장 먼저 연결되고, 전기가 차단된 후 가장 나중에 분리되어야 합니다. 이는 충전 중 발생할 수 있는 누설 전류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핵심 안전 규정입니다. (한국전기설비규정(KEC) 241.17) |
3. 의도하지 않은 부하의 차단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 또는 탈부착을 위한 기계적 장치가 있는 것일 것. 올바른 설명입니다. 충전 중에 커플러가 쉽게 빠지면 전기 스파크(아크)가 발생하여 화재나 감전의 위험이 있습니다. 잠금장치는 커플러가 차량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하여, 의도치 않은 분리를 막고 안전한 충전을 보장하는 중요한 기능입니다. |
4. 전기자동차 커넥터가 전기자동차 접속구로부터 분리될 때 충전 케이블의 전원공급을 중단시키는 인터록 기능이 있는 것일 것. 올바른 설명입니다. 인터록(Interlock) 기능은 안전을 위한 필수 장치입니다. 커플러가 완전히 체결되지 않았거나 분리 과정에 있을 때 전력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전류가 흐르는 상태에서 커넥터가 분리되는 위험한 상황을 원천적으로 방지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