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으로 할인 받고
운전학원 예약해보세요!
QR 코드 이미지
앱스토어 이미지플레이스토어 이미지
운전선생 로고지금 바로
예약 가능한 학원을 찾아보세요!
돈 이미지더이상 직접 가서 예약하지 마세요!
돈 이미지운전학원 최저가로 예약하세요!
야간 운전 중 나타나는 증발현상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도로교통공단 공식 해설

증발현상은 마주 오는 두 차량 모두 상향 전조등일 때 발생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야간 운전 시 마주 오는 두 차량이 모두 상향등을 켜면 강한 불빛 때문에 그 사이의 보행자나 장애물이 보이지 않게 되는 현상을 '증발현상'이라고 합니다. 마주 오는 차가 있을 때는 반드시 상향등을 하향등으로 전환하여 증발현상과 눈부심을 예방하고 보행자 안전을 확보해야 합니다.

설명

1. 증발현상이 나타날 때 즉시 차량의 전조등을 끄면 증발현상이 사라진다.

오답입니다. 야간 운전 중 전조등을 끄는 것은 매우 위험한 행동입니다. 증발현상을 피하기 위해서는 상향등을 하향등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도로교통법 시행령 제20조 제1항 제1호는 마주보고 진행할 때 전조등의 밝기를 줄이거나 불빛 방향을 아래로 향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이는 상향등을 하향등으로 바꾸는 것을 의미합니다.

2. 증발현상은 마주 오는 두 차량이 모두 상향 전조등일 때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정답입니다. 증발현상은 어두운 밤길에서 마주 오는 두 차량이 모두 상향등을 켰을 때, 그 사이의 공간에 있는 보행자나 장애물이 강한 불빛에 묻혀 보이지 않게 되는 현상을 정확히 설명합니다. 이는 운전자의 시야를 심각하게 방해하여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도로교통법 시행령 제20조에서는 마주 오는 차가 있을 때 등화 조작 의무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3. 야간에 혼잡한 시내도로를 주행할 때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오답입니다. 증발현상은 주변에 가로등이 없는 어두운 도로에서 상향등을 사용할 때 주로 발생합니다. 혼잡하고 조명이 밝은 시내 도로에서는 대부분 하향등을 사용하므로 증발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습니다. 도로교통법 시행령 제20조 제2항은 교통이 빈번한 곳에서는 전조등 불빛을 계속 아래로 유지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4. 야간에 터널을 진입하게 되면 밝은 불빛으로 잠시 안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오답입니다. 이는 증발현상이 아닌, 밝은 곳에 갑자기 들어갈 때 시각이 적응하지 못해 일시적으로 보이지 않는 '현혹 현상' 또는 '암순응/명순응 장애'에 대한 설명입니다. 증발현상은 두 개의 강한 불빛 사이의 물체가 보이지 않는 현상으로, 터널 진입 시의 현상과는 원인이 다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