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으로 할인 받고
운전학원 예약해보세요!
QR 코드 이미지
앱스토어 이미지플레이스토어 이미지
운전선생 로고지금 바로
예약 가능한 학원을 찾아보세요!
돈 이미지더이상 직접 가서 예약하지 마세요!
돈 이미지운전학원 최저가로 예약하세요!
야간 운전 중 나타나는 증발현상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도로교통공단 공식 해설

증발현상은 마주 오는 두 차량 모두 상향 전조등일 때 발생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증발현상은 마주 오는 두 차량이 모두 상향등을 켰을 때 그 사이의 보행자나 장애물이 보이지 않게 되는 위험한 현상입니다. 따라서 야간에 마주 오는 차가 있을 때는 반드시 하향등으로 전환하여 서로의 안전을 확보해야 합니다.

설명

1. 증발현상이 나타날 때 즉시 차량의 전조등을 끄면 증발현상이 사라진다.

야간에 전조등을 끄는 행위는 자신의 시야를 포기하고 다른 운전자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릴 수 없게 만들어 매우 위험합니다. 증발현상은 강한 빛의 중첩이 원인이므로, 전조등을 끄는 것이 아니라 하향등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2. 증발현상은 마주 오는 두 차량이 모두 상향 전조등일 때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증발현상은 두 대의 차량이 서로 상향등을 켠 채 마주 올 때, 그 강한 불빛들이 교차하며 중앙에 있는 보행자나 물체를 순간적으로 보이지 않게 만드는 현상입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시행령 제20조의 등화 조작 의무를 지키지 않았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위험입니다.

3. 야간에 혼잡한 시내도로를 주행할 때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증발현상은 주로 가로등이 없는 어두운 도로에서 발생하며, 조명이 밝고 교통량이 많은 시내도로에서는 상향등 사용 빈도가 낮아 발생 가능성이 적습니다. 도로교통법 시행령 제20조 제2항은 교통이 빈번한 곳에서는 전조등 불빛 방향을 아래로 유지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4. 야간에 터널을 진입하게 되면 밝은 불빛으로 잠시 안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터널 진입 시 일시적으로 시야가 어두워지는 것은 '암순응 현상'입니다. 이는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들어갈 때 눈이 적응하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발생하며, 강한 빛의 중첩으로 인한 증발현상과는 원인이 다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