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발현상을 막기 위해서는 반대편 차량의 불빛을 정면으로 쳐다보지 않는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야간에 마주 오는 차량의 전조등을 직접 보면, 그 불빛과 내 차의 불빛 사이의 보행자나 물체가 순간적으로 보이지 않는 증발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매우 위험합니다. 안전한 야간 운전을 위해 반대편 불빛을 정면으로 보지 않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설명 |
|---|
1. 전면유리에 틴팅(일명 썬팅)을 하면 야간에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틴팅(썬팅)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낮춰 야간 시야를 오히려 좁고 어둡게 만듭니다. 이는 위험 상황 인지를 늦춰 사고 위험을 높입니다. 도로교통법 시행령 제28조는 안전을 위해 앞면 창유리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70%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
2. 맑은 날은 야간보다 주간운전 시 제동거리가 길어진다. 일반적으로 야간에는 주간보다 운전자의 시야가 제한되고 피로도가 높아져 위험 인지 및 반응 시간이 길어집니다. 따라서 제동거리가 아닌, 위험을 인지하고 완전히 정지하기까지의 '정지거리'는 야간에 더 길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
3. 야간에는 전조등보다 안개등을 켜고 주행하면 전방의 시야확보에 유리하다. 안개등은 안개가 낀 상황에서 가까운 거리를 넓게 비추는 목적입니다. 맑은 날 야간에는 멀리까지 시야를 확보해야 하므로, 도로교통법 시행령 제19조에 따라 반드시 전조등을 켜야 합니다. 안개등만으로는 전방 시야 확보가 불충분하여 위험합니다. |
4. 반대편 차량의 불빛을 정면으로 쳐다보면 증발현상이 발생한다. 정답입니다. 증발현상(현혹현상)은 야간에 마주 오는 차의 강한 불빛에 의해 시력이 순간적으로 저하되어, 두 차량 사이의 보행자나 장애물이 보이지 않게 되는 현상입니다. 이를 피하기 위해 시선을 약간 오른쪽으로 옮기는 것이 안전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