② 고속 운행 시에 주로 발생한다.
③ 미끄러짐 현상에 의한 노면 흔적은 사고 처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자동차 미끄러짐 현상은 주로 과속과 급제동이 원인이며, 최신 안전장치인 ABS가 장착된 차량도 예외는 아닙니다. 안전은 속도를 줄이는 것에서 시작되므로, 특히 빗길 등 미끄러운 도로에서는 감속 운행이 필수적입니다.
설명 |
---|
1. 主要发生在高速行驶途中急刹车时,因此超速是主要原因。 정답입니다. 자동차가 미끄러지는 것은 타이어의 접지력을 초과하는 힘이 가해질 때 발생합니다. 고속 주행 시에는 운동 에너지가 커져 작은 제동이나 조향에도 쉽게 접지력을 잃게 되므로, 과속은 미끄러짐의 가장 주된 원인으로 꼽힙니다. |
2. 主要发生在雨路低速行驶时。 오답입니다. 빗길에서는 타이어와 노면 사이의 수막현상(Hydroplaning)으로 인해 미끄러지기 쉽습니다. 이 현상은 저속보다 고속으로 주행할 때 주로 발생하므로, 빗길에서는 반드시 감속 운행해야 합니다.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제19조는 비가 내려 노면이 젖어있는 경우 최고속도의 100분의 20을 줄인 속도로 운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
3. 因打滑现象而造成的路面痕迹在推断事故原因方面没有什么帮助。 오답입니다. 타이어가 미끄러지며 남긴 스키드 마크는 교통사고 조사에서 매우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노면 흔적을 통해 사고 당시 차량의 속도, 진행 방향, 제동 여부 등을 추정하여 사고 원인을 과학적으로 규명할 수 있습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시행령 제32조(교통사고의 조사)에서 명시한 '교통사고 현장 상황'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
4. 即使是安装ABS(防抱死制动装置)的车辆也有可能会发生打滑现象。 정답입니다. ABS(Anti-lock Brake System)는 급제동 시 바퀴가 잠기는 것을 방지하여 조향 능력을 유지하도록 돕는 안전장치입니다. 하지만 물리적 한계를 넘어서는 과속이나 급격한 핸들 조작 시에는 ABS 장착 차량도 타이어 접지력을 잃고 미끄러질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