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으로 할인 받고
운전학원 예약해보세요!
QR 코드 이미지
앱스토어 이미지플레이스토어 이미지
운전선생 로고지금 바로
예약 가능한 학원을 찾아보세요!
돈 이미지더이상 직접 가서 예약하지 마세요!
돈 이미지운전학원 최저가로 예약하세요!
자동차가 미끄러지는 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2가지는?
도로교통공단 공식 해설

② 고속 운행 시에 주로 발생한다. ③ 미끄러짐 현상에 의한 노면 흔적은 사고 처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자동차 미끄러짐은 주로 과속이나 급제동으로 인해 발생하며, ABS 같은 안전장치가 있어도 물리적 한계를 넘어서면 미끄러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과속과 급제동은 미끄러짐의 주된 원인임을 인지하고 어떤 상황에서도 안전 속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설명

1. 고속 주행 중 급제동 시에 주로 발생하기 때문에 과속이 주된 원인이다.

정답입니다. 자동차의 속도가 높을수록 운동 에너지는 제곱에 비례하여 커집니다. 이때 급제동을 하면 타이어의 접지력이 한계를 넘어 미끄러지기 쉽습니다. 따라서 과속은 미끄러짐 사고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로, 항상 안전 속도를 준수해야 합니다.

2. 빗길에서는 저속 운행 시에 주로 발생한다.

오답입니다. 빗길에서는 타이어와 노면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하여 고속 주행 시 '수막현상'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이로 인해 미끄러짐이 주로 발생하므로, 도로교통법 시행령 제19조에서는 비가 내려 노면이 젖어있는 경우 최고속도의 20%를 줄여 운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3. 미끄러지는 현상에 의한 노면 흔적은 사고 원인 추정에 별 도움이 되질 않는다.

오답입니다. 타이어가 미끄러진 흔적인 '스키드 마크'는 교통사고 원인을 규명하는 매우 중요한 단서입니다. 도로교통법 시행령 제32조(교통사고의 조사)에 따라 경찰은 사고 현장 상황과 증거를 수집하며, 스키드 마크를 통해 제동 시작 지점, 속도, 진행 방향 등을 추정합니다.

4. ABS 장착 차량도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정답입니다. ABS(Anti-lock Brake System)는 급제동 시 바퀴가 잠기는 것을 방지해 조향 능력을 유지시켜주지만, 타이어의 접지력 자체를 높여주지는 못합니다. 따라서 과속으로 물리적 한계를 넘어서면 ABS 장착 차량이라도 미끄러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