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폭발 등의 위험에 대비해 시동을 꺼야 한다. ③ 측벽 쪽으로 정차시켜야 응급 차량 등이 소통할 수 있다. ④자동차 열쇠를 꽂아 두어야만 다른 상황 발생 시 조치 가능하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터널 내 화재 시에는 2차 사고 방지와 신속한 대피가 가장 중요합니다. 엔진 폭발 위험을 막기 위해 자동차 시동을 끄고, 소화기 사용 시에는 바람을 등져 자신을 보호하는 것이 올바른 행동입니다. 차량은 긴급차량 통행을 위해 가장자리로 옮기고, 키는 차에 두어야 합니다.
설명 |
---|
1. 차에서 내려 이동할 경우 자동차의 시동을 끄고 하차한다. 정답입니다. 터널 내 화재 시 차량 시동을 끄는 것은 연료 공급을 차단하여 화재 확산이나 폭발 위험을 줄이는 중요한 조치입니다. 또한, 차량이 비상 상황에서 저절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2차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이는 운전자와 동승자의 안전을 위한 필수 행동입니다. |
2. 소화기로 불을 끌 경우 바람을 등지고 서야 한다. 정답입니다. 소화기 사용 시 바람을 등지는 것은 소화 약제가 화재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분사되게 하고, 화염이나 유독가스가 자신에게 오는 것을 막아주는 가장 기본적인 소방 안전 수칙입니다. 이는 사용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확보하는 행동입니다. |
3. 터널 밖으로 이동이 어려운 경우 차량은 최대한 중앙선 쪽으로 정차시킨다. 오답입니다. 터널 내 비상 상황 발생 시, 차량은 긴급차량(소방차, 구급차 등)의 통행로 확보를 위해 최대한 도로 오른쪽 가장자리나 갓길로 붙여 정차해야 합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시행령 제11조 제1항 제1호의 일반적인 정차 원칙과도 일치하며, 중앙선 쪽 정차는 구조 활동을 방해합니다. |
4. 차를 두고 대피할 경우는 자동차 열쇠를 뽑아 가지고 이동한다. 오답입니다. 화재나 비상 상황으로 차량을 두고 대피할 때는, 구조대가 차량을 이동시켜야 할 경우를 대비해 자동차 키를 꽂아두거나 스마트키의 경우 차 안에 두어야 합니다. 이는 신속한 사고 수습과 추가 위험 방지를 위해 모든 운전자가 지켜야 할 중요한 약속입니다. |